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_1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_1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_2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_3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_4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_5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_6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_7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_8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_9
이전 다음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

  • 지정 : 보물
  • 한자명 : 義城 觀德里 三層石塔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 889
이중기단(二重基壇)위에 세운 일반형(一般型) 삼층석탑(三層石塔)으로 장식성(裝飾性)이 농후(濃厚)하다. 방형(方形)의 지대석(地臺石)은 사석(四石)으로 짜고 중석(中石) 또한 사석(四石)으로 되었으며 각면(各面)은 넓직한 탱주(柱)로 이분(二分)하고 낮고 넓은 각면(各面)에는 비천상(飛天像) 일구식(一軀式)이 양각(陽刻)되었다. 이 위에 사매석(四枚石)으로 된 갑석(甲石)을 넣어 하층기단(下層基壇)을 구성(構成)하고 갑석(甲石) 상면(上面)에는 각(角)ㆍ호(弧)의 몰딩이 있어 각면(各面) 일석(一石)으로 된 상층기단(上層基壇) 면석(面石)을 받고 있다. 이곳에도 각면(各面)마다 넓직한 탱주(柱)가 있어 이구(二軀)로 구분(區分)하고 좌측(左側)에 사천왕상(四天王像) 우측(右側)에 사보살(四菩薩)을 돌아가며 양각(陽刻)하였다. 갑석(甲石)은 일매(一枚) 판석(板石)으로 덮되 상면(上面)에 하층(下層)과 같이 각(角)ㆍ호(弧)의 몰딩이 있어 탑신(塔身)을 받게 되었다. 옥신(屋身)과 옥개석(屋蓋石)은 각각(各各) 일석(一石)이고 초층(初層) 옥신(屋身)에는 각면(各面)에 우주(隅柱)를 표시(表示)한 가운데 보살입상(菩薩立像) 일구식(一軀式)이 양각(陽刻)되었고 이층(二層) 이상(以上)은 따라 체감(遞減)되었다. 옥개석(屋蓋石)은 신라석탑(新羅石塔)의 통식(通式)을 따라 추녀 밑은 직선(直線)을 이루었고 낙수면(落水面)에는 구배(勾配)가 있다. 받침은 초층(初層)과 이층(二層)은 각각(各各) 사단(四段)이고 삼층(三層)은 삼단(三段)으로 감축(減縮)되었고 이 주위(周圍)로 구조(溝條)가 돌려있다.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을 남겼을 뿐 일실(逸失)되었으나 그것도 이중(二重)으로 도치(倒置)되어 후세(後世)에 혼란(混亂)된 것이며 그 위에 석재(石材)가 있기는 하나 무엇인지 알 수 없다. 이와 같이 규모(規模)가 크지 않은 이 탑(塔)은 장식(裝飾)에 흘렀고 더욱이 상층기단(上層基壇) 면석(面石)과 초층(初層) 옥신(屋身)에는 각각(各各) 입상(立像)이 조각(彫刻)된 관계(關係)로 비례(比例)에 맞지 않게 높아 졌으며 조각(彫刻) 자체(自體)도 우수(優秀)한 편(便)이 되지 못한다. 그 뿐 아니라 원래(原來) 상층기단(上層基壇) 갑석(甲石) 사우(四隅)에는 자웅(雌雄) 이구식(二軀式) 사구(四軀)의 석사자(石獅子)가 있었으나 그 중(中) 자웅(雌雄) 이구(二軀)는 일지기 도난(難) 당(當)하였고 남은 이구(二軀)는 현재(現在) 경주박물관(慶州博物館)에 보관중(保管中)이다. 대체(大體) 탑파기단(塔婆基壇) 사우(四隅)에 석사자(石獅子)를 배치(配置)하는 식(式)은 저 분황사(芬皇寺) 석탑(石塔)에서 가장 고고(高古)한 실례(實例)를 볼 수 있고 그 후(後) 계속(繼續) 그 례(例)를 볼 수 있었으나 그러한 식(式)은 이곳에 까지 이어 왔음을 보겠다. 남은 이구(二軀)의 사자중(獅子中) 자사(雌獅)는 아사(兒獅)를 포유(抱乳)하는 형상(形狀)으로 진귀(珍貴)한 유례(遺例)라 한다. 이 탑(塔)은 이상(以上)과 같이 웅대(雄大)한 기상(氣象)은 없으나 신라(新羅) 하대(下代)를 대표(代表)할 만한 우아(優雅)한 미탑(美塔)이라 하겠으나 시대(時代)의 풍조(風潮)는 어찌할 수 없어 섬약(纖弱)함을 면(免)치 못하였다. 아마도 그 제작(製作)이 십세기경(十世紀頃)에 있지 않을까 한다. 또한 이 탑(塔)은 1931년(年) 부법(不法)으로 매각(賣却)되어 반출(搬出)하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탑(塔)이 해체(解體)되었을 때 황색(黃色)으로 인(因)한 약(約) 40cm 평방(平方)의 견포(絹布)에 문자(文字)가 있었다고 전(傳)한다. 또 탑전면(塔前面)에는 배례석(拜禮石)이 있고 후면(後面)에는 초옥내(草屋內)에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이 안치(安置)되었다.

학술자료

  • 1. 義城의 古代司會(2001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의성문화원 / 발행처 : 의성문화원
  • 2. 경상북도의 석탑Ⅶ(2013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3.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 4. 탑 : 선 채로 천년을 살면 무엇이 보일까(201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손묵광, 이달균 / 발행처 : 마음서재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