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_1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_1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_2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_3
이전 다음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 지정 : 국보
  • 한자명 : 慶州 高仙寺址 三層石塔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2-12-20
  • 소재지 :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고선사(高仙寺)는 통일신라(統一新羅) 초기(初期)에 창건된 사찰(寺刹)로서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주지(住持)로 있었던 곳으로 이름난 절이다. 이 석탑은 원래 경주시 암곡동(暗谷洞) 고선사터(高仙寺址)에 있었던 것을 경주고도종합개발계획(慶州古都綜合開發計劃)의 일환으로 실시된 덕동(德洞)댐공사로 인하여 수몰(水沒)됨으로써 1975년 이곳으로 옮겨 세워 놓은 것이다. 지대석(地臺石)과 하층기단(下層基壇)의 면석(面石)을 붙여서 12매로 결구하고, 하층기단 갑석(甲石)과 상층기단 면석은 별석(別石)으로 각각 12매로 구성되어 있고, 상층기단 면석은 8매로 되어 있다. 초층 탑신은 우주(隅柱)와 면석을 별석으로 하여 8매로 가구하였고, 2층 옥신은 각면 1매씩의 4석으로, 3층옥신은 1석으로 되어 있다. 각층의 옥개석은 개석(蓋石)과 옥석(玉石) 받침을 별석으로 하여 각각 4석으로 구성하였으며 옥개석 받침의 층단은 5단이다.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과 복발(覆鉢), 앙화(仰花)가 남아 있고 찰주(擦柱)는 없다. 이 탑은 감은사지(感恩寺址) 삼층석탑과 규모나 가구수법이 흡사한데 차이점이 있다면 감은사탑에는 없는 초층탑신 사면에 문비(門扉)가 조각되어 있는 점이다. 1975년 이 탑을 해체 복원할 당시 삼층옥신 상면에 사리장치공(舍利藏置孔)이 있었는데 한변의 길이 31cm, 깊이 20cm의 방형공(方形孔)이었다. 參考文獻: ㆍ三國遺事 四卷 義解第五 「蛇福不言」條 ㆍ東國通志 七卷 「佛寺 高仙寺」條

학술자료

  • 1. (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강우방 신용철 / 발행처 : 솔
  • 2. 경주지역 신라 전형석탑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2004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한정호 / 발행처 : 위덕대학교 박물관
  • 3. 경상북도의 석탑Ⅰ(2007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4. 고선사지 삼층석탑의 축조형식 분석 및 하중전달 메커니즘 연구(2009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최홍락 양명규 박영신 정성진 김호수 / 발행처 : 대한건축학회
  • 5. 기단부 형식을 고려한 고선사지 삼층석탑의 구조모형화 및 해석기법 연구(2009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김호수 최홍락 박영신 정성진 김덕문 배병선 / 발행처 : 대한건축학회
  • 6. 감은사지 쌍탑과 고선사지 삼층석탑 비교 고찰(2010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한정호 / 발행처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7. 신라석탑의 발생과 성립과정에 대한 고찰(2010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신용철 / 발행처 : 한국건축역사학회
  • 8. 부재 해석을 통한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의 연혁 추적(2019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전효수 / 발행처 : 국립중앙박물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