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_1
  •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_1
  •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_2
  •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_3
  •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_4
이전 다음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

  • 지정 : 보물
  • 한자명 : 安東 造塔里 五層塼塔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 139
화강석과 전(塼)을 혼용(混用(한 전탑으로서 이 탑을 가지고 순수한 전탑이라고는 하기 힘들다. 다른 전탑에 있어서도 일부에 석재를 사용하기는 하였으나 이와 같이 혼용의 의도가 뚜렷한 예는 없다. 즉 일변 약 7m 평방의 토축기단(土築基壇)위에 옥신(屋身)을 받기 위한 높이 약 49cm, 일변 약 2.65m의 화강석 5단의 괴임돌이 있고 그 위의 초층 옥신은 대소(大小)가 균일하지 않은 화강석재를 5, 6단 쌓았고 그 남면에는 높이 66.5cm, 폭 50cm 넓이의 감실(龕室)을 내고 그 주위에 문주형(門柱形)과 미석(楣石)으로 광곽(?槨)을 돌렸으며 그 좌우에 암좌(岩座)에 선 인왕상(仁王像)이 양각(陽刻)되었다. 감실 내부에는 23cm×24.5cm의 각형 목심주(木心柱)가 있다. 초층 옥개부터는 전으로 축조하였으나 전은 일변 27cm, 두께 5.5cm의 방형전(方形塼)을 사용하여 어긋나게 쌓았고 그 중에는 우려(優麗)한 당초문(唐草紋)을 양각하고 그 주연에 병주문(聯珠文)이 있는 것이 있으니 이것이 아마 창건 당시의 것으로 추측된다. 2층 이상의 체감(遞減)된 탑신(塔身)에는 2층과 4층 남면에 극히 형식적인 감형(龕形)이 표현되었다. 옥개의 축조방식은 초층 옥개만은 초단에서 전재 2매를 중첩(重疊)하고 그 위부터 받침이 시작되나 2층 이상부터는 이러한 수법은 없어진다. 옥신 밑의 받침은 초층부터 9, 8, 7, 6, 3단이며 상면의 층단수는 초층부터 7, 5, 4, 3단으로 되었고 기와를 입혔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상륜부(相輪部)는 전실(全失)되었다. 이 탑의 체감비율(遞減比率)을 볼 때 옥개보다 옥신에 있어 조화되지 않는 점이 눈에 띄니 초층 옥신의 고(高)가 지나치게 높은 점과 5층 옥신이 너무 큰 점이다. 이 탑은 1917년 수리를 거친 이래 여러 번 손을 대왔고 그 이전에도 안동시내의 전탑이 모두 조선시대에 수리를 거친바 있으니 이 탑 또한 그러했을 가능성이 없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옥신의 이러한 불균형은 이러한 수차의 수리에서 기인한 것이지 창건당시의 원형이 아닐 것으로 추측된다. 이 탑의 소재지는 안동에서 약 30리(里)이고 이곳에서 산곡으로 약 30리를 나가면 지금은 도괴(倒壞)된 5층이었으리라고 추정되는 전탑이 1기 있었으니 안동군내에 다수한 전탑의 축성(築成)을 보았으리라고 짐작된다. 이 부근에는 석탑재(石塔材), 석등재(石燈材) 등이 남아 있고 석불(石佛)도 있다고 하니 그 산포지역(散布地域)으로 보아 큰 가람(伽藍)이 있었던 것 같다.

학술자료

  • 1. (韓國文化財大系) 國寶 . 1-24(198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병삼 외 8명 / 발행처 : 예경산업사
  • 2. 안동, 결코 지워지지 않는 그 흔적을 찾아서(200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성규 / 발행처 : 한빛
  • 3. 경북 북부지역 모전석탑 연구(2008년 발행)
    학위논문 / 저자 : 안선우 / 발행처 : 안동대학교 대학원
  • 4. 경상북도의 석탑Ⅵ(2012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5.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 6. 7∼9세기 전탑분석을 통한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 조영특성에 관한 연구(201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상구 / 발행처 :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