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_1
  •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_1
  •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_2
  •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_3
이전 다음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 지정 : 보물
  • 한자명 : 安東 安寄洞 石造如來坐像
  • 유형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안동시 안기동 152-13
광배(光背)나 대좌(臺座)는 말할 것도 없고 머리까지 없어진 채 몸 만이 덩그렇게 남아있는 불상이다. 그러나 이 불상은 이름있는 각장(刻匠)이 유창하게 쪼아 낸 훌륭한 작품(作品임)에는 틀림없을 것이다. 겨우 남아있는 삼도(三道)는 힘이 있어 좋고, 어깨로 내려오는 선(線)은 유려(流麗)하고 발랄하다. 반가부좌(半跏趺坐)한 앉음새는 안정감이 충만하며, 세부의 표현은 생명감()이 넘치도록 하고 있다.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손도 재치있게 만들었다. 여기 통견(通肩)의 법의(法衣)는 아주 유창하게 표현되었는데 소매깃 하나에 이르기까지 매우 사실적(寫實的)이며 단장의문(段狀衣紋)은 활달(豁達)하다. 가슴의 군의(裙衣) 띠는 수평적(水平的)인 것 같지만 려말(麗末)부터 유행하던 수평적인 수법과는 큰 차가 있는 곡선적인 것이며 그 아래 띠매듭은 맵씨있게 처리되고 있다. 바른 가슴, 바른 손등, 바른 무릎 등이 깨어졌으며 목이 반들거리기까지 한 것을 보면 머리는 오래 전에 없어진 것 같다. 이 불상은 철도 관사구역 안에 있으며 바로 옆에 삼층석탑이 있다. 지금 아래에 놓여 있는 대좌는 이 불상과 상관없는 것인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학술자료

  • 1. 寶物大觀(196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남정규 / 발행처 : 남일문화출판사
  • 2. 安東鄕土誌(198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송지향 / 발행처 : 대성문화사
  • 3. 세종문화유적총람 . 3(198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발행처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4.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 국가지정 문화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발행처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5. 안동의 문화재 : 지정 문화재편(199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서수용 / 발행처 : 영남사
  • 6. 文化財大觀 . 5 , 寶物3 佛像(金銅佛·石佛·磨崖佛)(199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국문화재보호협회 / 발행처 : 대학당
  • 7. (알고 싶은)안동문화(200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안동교육청 / 발행처 : 경상북도 안동교육청
  • 8. 안동의 문화유산(200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서수용 / 발행처 : 학문사
  • 9.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10. (보물편)문화재대관 : 석조(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문화재청
  • 11. 문화재 안내문안집(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안동시 / 발행처 : 안동시
  • 12. 安東文化財大觀(200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안동시 / 발행처 : 안동시
  • 13. 초등학교 미술과에서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전통 미술 감상 지도 방안 연구 : 불교 미술 문화재를 중심으로(2009년 발행)
    학위논문 / 저자 : 김영순 / 발행처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14.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