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_1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_1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_2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_3
이전 다음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 지정 : 보물
  • 한자명 : 安東 泥川洞 磨崖如來立像
  • 유형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시대 : 고려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안동시 이천동 산2
안동읍(安東邑)에서 영주(榮州)쪽으로 10리쯤 가면 연미사지(燕尾寺址)가 있고 삼층석탑(三層石塔)이 있는 서쪽은 높이 10여 m, 넓이 7.2m나 되는 대암석(大岩石)이 서향하여 절벽을 이루고 있다. 이 암석의 높이 4.8m, 넓이 7m의 또 다른 암석이 솟아있는데, 이 서향한 암석에 머리는 따로 만든 대마애불(大磨崖佛)이 조각되었다. 파주(坡州) 용미리(龍尾里) 보다는 적은 크기지만 그 보다 훨씬 훌륭한 작품이다. 후두부(後頭部)는 거의 파손되었으나 얼굴은 완전한데 긴 눈, 날카로운 코 등이 당시의 불상을 그대로 반영(反映하는 것이지만 결코 미련스런 흔적은 일체 없고 어디까지나 우아하다. 머리와 얼굴, 특히 입에는 주홍색(朱紅色)이 남아있어 원래는 채색(彩色)되고 있었음이 분명하다. 목은 짧고 형식적인 삼도(三道)가 있으며 거구(巨軀)의 신체는 역시 괴체화(塊體化)되고 있다. 통견(通肩)의 법의(法衣)는 음각의문(陰刻衣紋)이며 바른 쪽 가슴의 띠매듭이라던가 옷자락 끝의 주름 등은 역시 도식적(圖式的)으로 표현되고 있다. 왼손은 가슴까지 들어 엄지와 중지(中指)를 맛대고 있으며 바른 손은 내려 또한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는 중품하생인(中品下生印)을 짓고 있다. 이 인상은 서향이라는 방위와 더불어 이 불상이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라는 것을 웅변하는 것이다. 대좌(臺座)는 몇 개의 큼직한 단판연화문(單瓣蓮花紋)으로 구성하였다.
목록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