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1963-1)_1
  •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1963-1)_1
이전 다음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1963-1)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榮州 北枝里 石造如來坐像(1963-1)
  • 유형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40-07-31
  • 소재지 :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1
이 두 불상(佛像)들은 원래 부석사(浮石寺) 동쪽 산넘어 어떤 폐사지(廢寺址)에 있었던 것을 또 하나의 불상과 같이 부석사로 옮겨 놓은 것이다. 지금 자인당(慈忍堂)의 동쪽에 안치된 것은 대좌(臺座), 광배(光背)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 거의 완전(完全)한 불상이다. 머리의 육계는 거의 퇴화되었고, 여기의 나발(螺髮)은 듬성한 것이며, 머리는 기름한 얼굴과 함께 타원형(楕圓形)으로 변하고 있다. 눈은 파여져서 잘 알 수 없지만 약간(若干)의 미소 흔적은 남아 있다. 어깨가 너무 뒤로 젖혀지고, 가슴과 배가 평평하여 졌으며, 비록 옆으로 벌어진 체구(體軀)이지만 전대(前代)와 같은 힘이 없다. 두 손은 없어졌지만 두 팔이 가슴쪽으로 올라가는데 틀림없이 지권인(智拳印)의 인상(印相)이며 따라서 이 불상은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임이 명백하다.법의(法衣)는 통견(通肩)인데 역시 당시에 유행하던 부행밀집의문(不行密集衣紋)이며, 이 점은 타원형의 얼굴이나 기본적(基本的)인 몸의 자세와 함께 865년 제작인 철원도피안사비로자나불상(鐵原到彼岸寺毘盧舍那佛像)과 흡사(恰似)하다. 광배(光背)는 만곡(灣曲)이 심하고 끝이 날카로운 보주형(寶珠形)에 가까운 주형거신광(舟形擧身光)이다, 두광은 원형이조선(圓形二條線)인데 중심(中心)에는 연화문이 있고 그 사이에는 보상화(寶相華)가 엇갈리면서 조각(彫刻)되었다. 두광 위에 신광 양쪽으로 옷자락을 길게 날리는 삼존화불(三尊化佛)이 각각 조각(彫刻)되었다. 신광 양쪽의 삼존화불 밑은 굵은 양각이조선(陽刻二條線)으로 안팎을 구분하여 안쪽에는 큰 화문(花文)을 표현하였고, 밖에는 외연부(外緣部)에 화염문(火焰文)을 배치하였다.대좌는 삼중팔각대좌(三重八角臺座)이다. 4각형(角形)의 지대석(地臺石), 그 위에는 8각(角)의 복연석(伏蓮石)에 복판연화문(複瓣蓮花紋) 8엽(葉)과 그 밑에 각면(各面)마다 안상(眼象)을 마련하고 정면(正面)에는 향로, 다른곳에는 사자(獅子) 등과 같은 동물형(動物形)을 배치시키고 있다. 중대석(中臺石)은 팔각(八角)인데 모서리마다 주형(柱形)이 있고 각면(各面)의 안상(眼象)속에는 천부(天部)를 조각(彫刻)하였다. 상대석(上臺石)은 반구형(半球形)에 중판앙연(重瓣仰蓮)을 조각(彫刻)하였다. 서(西)쪽 여래상(如來像) 역시 모든 기본「스타일」은 동(東)쪽 여래상(如來像)과 흡사(恰似)하며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인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러나 이 불상은 좀 더 풍만(豊滿)하여 육체(肉體)의 선(線)들도 부드러운 편(便)이다. 이 불상의 광배(光背)는 서쪽 광배와 다소(多少) 다르다. 두광은 이중원(二重圓)이며 중앙(中央)에 8판연화문이 있고 사이에 하엽문(荷葉文)이 있다. 신광도 이조선(二條線)이며 안쪽에는 아무런 문양(紋樣)이 없고, 하단(下端)은 한층 두드러지게 하여 보상화문(寶相華紋)을 배치하였다. 두광 위에는 삼존화불이 있으며, 외연부(外緣部)에 각각 삼구(三軀), 대좌는 바로 동쪽 대좌와 꼭 같다. 어쨌던 이 두 불상은 양식(樣式)상 구별(區別)할 수 없는 한 조각가(佛師)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이며, 이 양식은 9세기(世紀) 중엽경(中葉傾)에 크게 성행하던 비로자나불 양식인 것은 두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학술자료

  • 1. 寶物大觀(196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남정규 / 발행처 : 남일문화출판사
  • 2. (韓國文化財大系) 國寶 . 1-24 (198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병삼 외 8명 / 발행처 : 예경산업사
  • 3. (韓國)文化財大觀 . 5 , 寶物3 佛像(金銅佛.石佛.磨崖佛)(1991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국문화재보호협회 / 발행처 : 대학당
  • 4.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 국가지정 문화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발행처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5.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6. (보물편)문화재대관 : 석조(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문화재청
  • 7. 한국의 사찰(200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형우, 신대현, 안병인 / 발행처 : 대한불교진흥원
  • 8. 한국의 불상(200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환대 / 발행처 : 이담Books
  • 9.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