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김천 청암사 수도암 동서 삼층석탑_1
  • 김천 청암사 수도암 동서 삼층석탑_1
이전 다음

김천 청암사 수도암 동서 삼층석탑

  • 지정 : 보물
  • 한자명 : 金泉 靑巖寺 修道庵 東西 三層石塔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김천시 증산면 수도리 513
수도암(修道庵)은 청암사(靑巖寺)의 속암(屬庵)으로서 수도산(修道山) 남면(南面) 산복(山腹)에 위치(位置)하여 안하(眼下)에 멀리 연봉(連峰)이 중첩(重疊)되고 그 너머로 우뚝솟은 가야산(伽倻山)의 상봉(上峰)을 대(對)하는 경승지(景勝地)에 건립(建立)되었다. 이곳 대웅전(大雄殿)을 사이에 두고 그 전면(前面) 좌우(左右)에 동서(東西)로 양기(兩基)의 석탑(石塔)이 건립(建立)되어 있는바 지형상(地形上) 전정(前庭)에 충분(充分) 한 여유(餘裕)가 없어 탑(塔)과 법당(法堂)과의 거리(距離)는 짧다. 동탑(東塔)은 단층(單層) 기단(基壇) 위에 방형(方形) 삼층석탑(三層石塔)으로 동서(東西)로 긴 장대석(長臺石)을 놓아 방형지대석(方形地臺石)을 마련하고 그 위에 각면(各面) 일석(一石)으로 중석(中石)을 구성(構成)하였다. 탱주(撑柱)와 모각(模刻)은 없고 우주(隅柱)는 매우 희미(稀微)하게 표현(表現)되었다. 갑석(甲石)은 동서(東西)로 긴 이매(二枚) 판석(板石)을 얹었는바 밑에는 부연(副椽)의 각출(刻出)이 없고 상면(上面)에는 경미(輕微)한 경사(傾斜)가 있고 중앙(中央)에 각형(角形)과 호형(弧形) 이단(二段)의 몰딩이 있어 탑신(塔身)을 받게 되었다. 탑신부(塔身部)는 옥신(屋身)과 옥개석(屋蓋石)이 각층(各層) 일석(一石)으로 되었고 초층(初層) 옥신(屋身)은 상촉하관(上促下寬)의 독특(獨特)한 형태(形態)로서 사우주(四隅柱)를 나타낸 가운데 각면(各面)에는 깊이 약(約) 5cm의 방형(方形) 감실(龕室)을 마련하고 그 안에 연화대상(蓮花臺上)의 여래좌상(如來坐像) 일구식(一軀式)을 양각(陽刻)하였는바 조각(彫刻) 자(自)체는 매우 각명(刻明)하고 지(肢)체 또한 정제(整齊)되어 단아(端雅)한 수법(手法)을 보여주고 있다. 이(二)ㆍ삼층(三層) 옥신(屋身)은 차례로 감축(減縮)되었는데 각면(各面)에 우주형(隅柱形)이 표현(表現)되었다. 옥개석(屋蓋石)은 평박(平薄) 광활(廣闊)하며 받침은 각층(各層) 사단(四段)이다. 추녀 밑은 직선(直線)이고 낙수면(落水面)은 반곡(反曲)없이 완만(緩慢)히 흘러내렸고 전각(轉刻)에서 극(極)히 경미(輕微)한 반전(反轉)이 있다. 이층(二層)은 옥신(屋身)을 따라 체감(遞減)되었는데 수법(手法)은 같다. 상륜부(相輪部)에는 적은 노반(露盤), 복발(覆鉢), 보륜(寶輪) 일개(一個)가 남아 있다. 서탑(西塔)은 각면(各面) 일석식(一石式)의 장대석(長臺石)으로 지대석(地臺石)을 마련하고 그 위에 역시(亦是) 일석(一石)으로 된 중석(中石)과 갑석(甲石)을 사석(四石)으로 짜서 하층(下層) 기단(基壇)을 구성(構成)하였다. 중석(中石) 각면(各面)에는 우주(隅柱)와 탱주(柱) 일주(一柱)가 모각(模刻)되었고 갑석(甲石) 상면(上面)에는 경미(輕微)한 경사(傾斜)가 있는 가운데 일단(一段)의 각형(角形) 몰딩이 있다. 상층(上層) 기단(基壇) 중석(中石)은 각면(各面) 일석식(一石式)으로 짜고 각면(各面)에 우주형(隅柱形)만이 표시(表示)되었다. 갑석(甲石)은 일매(一枚) 판석(板石)으로 부연(副椽)은 없으며 상면(上面)에 경미(輕微)한 경사(傾斜)가 있고 이단(二段)의 몰딩으로 탑신(塔身)을 받게 되었다. 탑신부(塔身部)는 옥신(屋身)과 옥개석(屋蓋石)이 각층(各層) 일석식(一石式)이다. 초층(初層) 옥신(屋身) 각면(各面)에는 우주형(隅柱形)이 있고 그 사이에 연화대상(蓮花臺上)의 여래좌상(如來坐像) 일구식(一軀式)이 양각(陽刻)되었다. 이층(二層) 옥신(屋身)은 초층(初層)에 비해 현저(顯著)히 감축(減縮)되었으나 이에 비해 삼층(三層) 감축률(減縮率)이 경(輕)하다. 옥개석(屋蓋石)은 동탑(東塔)보다도 더욱 평박(平薄) 광활(廣闊)하고 받침은 각층(各層) 오단(五段)이나 추녀에서 깊이 들어가 넓은 공간(空間)을 남겼음은 특이(特異)하다. 이(二)ㆍ삼층(三層)의 체감비률(遞減比率) 또한 온화(溫和)한 수법(手法)을 보였다. 상륜부(相輪部)에는 노반(露盤), 보륜(寶輪), 보주(寶珠)가 남아 있다. 이 양탑(兩塔)은 곳곳에 특이(特異)한 수법(手法)이 나타나 있으니 동탑(東塔) 초층(初層) 옥신(屋身)의 형태(形態), 감실(龕室) 개설(開設)의 형식(形式), 서탑(西塔) 옥개(屋蓋) 밑의 넓은 간격(間隔) 또한 동서탑(東西塔)의 넓은 옥개(屋蓋) 형태(形態)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약간(若干)의 섬약(纖弱)한 점(点)이 없지 않으나 각부(各部) 조각수법(彫刻手法)은 단정(端正)한 편(便)이다. 모두 신라중기(新羅中期) 이후 즉(卽) 9세기 후반의 조성(造成)으로 추정(推定)된다.

학술자료

  • 1. 경상북도의 석탑Ⅶ(2013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문화재청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