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대성지성 문선왕 전좌도

  • 지정 : 보물
  • 한자명 : 大成至聖 文宣王 殿坐圖
  • 유형분류 :유물 > 일반회화 > 기록화 > 궁궐도
  • 시대 : 조선
  • 지정일 : 1968-12-19
  • 소재지 : 영주시 소수박물관 보관
지본극채(紙本極彩) 지성공자(至聖孔子)를 주향(主享)으로 하여 아성(亞聖), 제공(諸公), 제후(諸侯)를 종향(從享)하는 문묘(文廟)ㆍ향교(鄕校)의 대성전(大聖殿), 동(東)ㆍ서(西)무 위패배향식(位牌配享式)을 따른 인물배열도(人物配列圖)로서 위계(位階)ㆍ차서(次序)에 따라 하향(下向)하는 좌우대칭(左右對稱) 열좌도(列坐圖)로 그린 것이나 개개(個個) 인물(人物)의 실제초상(實際肖像)과는 관계(關係)가 없는 것이다. 공자(孔子)의 상(像)만을 유독(唯獨) 크게 다룬 것이나 영내(楹內)ㆍ영외인물(楹外人物)의 크기에 차이가 있는 것은 주종(主從)에 대한 관념(觀念)의 단적(端的) 표현(表現)으로서 하나의 전래적(傳來的) 도상(圖像) 방식(方式)이다. 전면(全面)이 극채색(極彩色)되고 금자편액(金字扁額)이나 쌍영(雙楹), 금란장막, 전상(塼(石)床), 인물군(人物群)이 투시(透視)의 효과(效果)를 거두고 있어 매우 정제(整齊)된 화면(畵面)이 되었으나 어디까지나 시공(時空)을 초월(超越)한 하나의 관념적(觀念的) 구성(構成)이라 하겠다. 따라서 성현배향식(聖賢配享式)을 눈으로 확인(確認)하는 하나의 의궤도(儀軌圖)이며 그 가치(價値)는 배향대상(配享對象)의 실제내용(實際內容)이 설명(說明)해주는 바의 유학적(儒學的) 전적(典籍)으로서 보다 큰 비중(比重)을 갖는다 할 것이다. 정덕(正德) 8년(中宗 8년, 서기1513)의 화기(畵記)가 있는 복사본(複寫本)으로서 서원창건당시(書院創建當時)로부터 여기 있어온 것인 듯 하고 그 원본(原本)이라 할 별개(別個)의 전좌도(殿座圖)가 함께 전래(傳來)하는바 일설(一說)에 의하면 이것은 충렬왕(忠烈王) 29년에 문성공(文成公)이 원(元)에서 제래(齊來)한 것이라 전(傳)한다.
목록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