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1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1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2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3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4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5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6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7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8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9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10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11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12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13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14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15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16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17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18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19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20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21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22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23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24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25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26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27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28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29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30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31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32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33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34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35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36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37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38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39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40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41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42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43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44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45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46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47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48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49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50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51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52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53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_54
이전 다음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淸道 雲門寺 金堂 앞 石燈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석등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89
현재(現在) 승려(僧侶)들이 기거(起居)하는 큰 요사(寮舍)의 전정(前庭)에 유존(遺存)하는 바 이 요사(寮舍)가 본래(本來)부터 이 자리에 있던 것은 아닌 점(點)으로 보아 석등(石燈)의 원위치(原位置)가 현위치(現位置)일 가능(可能)이 많다. 우리나라 석등(石燈)의 기본형태(基本形態)인 팔각석등(八角石燈)으로서 지대석(地臺石)만이 방형(方形)이고 그 위의 부재(部材)는 모두 팔각(八角)을 이루고 있다. 지대석(地臺石)과 그 위 연화대석(蓮華臺石)은 일석(一石)으로 조성(造成)되었는데 연판(蓮瓣)은 단엽(單葉)의 복련(伏蓮)으로 각(各) 판내(瓣內)에는 화문(花紋)이 조식(彫飾)되었다. 복련대(伏蓮臺) 상면(上面)에는 팔각형(八角形)으로 이단(二段)의 각형(角形)받침을 각출(刻出)하여 간주(竿柱)를 받고 있는데 간석(竿石)은 통식(通式)의 팔각주(八角柱)로서 아무런 조식(彫飾)이 없다. 상대석(上臺石)은 하면(下面)에 일단(一段)의 각형(角形)받침을 마련하고 단엽팔판(單葉八瓣)의 앙련(仰蓮)을 조각(彫刻)하였으며, 각(各) 판내(瓣內)를 화문(花紋)으로 장식(裝飾)하였는데 그 조식화문(彫飾花紋)은 하대(下臺)의 연판내(蓮瓣內)와 같다. 앙련(仰蓮)의 판단부(瓣端部)에는 높은 일단(一段)의 굽을 팔각(八角)으로 돌렸으며, 그 상면(上面)에는 이단(二段)의 각형(角形)받침을 각출(刻出)하여 화사석(火舍石)을 받고 있다. 화사석(火舍石)은 사면(四面)에만 장방형(長方形)의 화창(火窓)을 뚫고 있으며 다른 사면(四面)은 조식(彫飾)이 없는데 창구(窓口) 조연(彫緣)에는 각변(各邊)을 따라 액(額)이 음각(陰刻)되고 그 내면(內面)에 소원공(小圓孔)이 있어 화창(火窓)을 부착(附着)시켰던 흔적(痕跡)임을 짐작케 한다. 옥개석(屋蓋石)은 하면(下面)에 이단(二段)의 괴임이 조출(彫出)되었고 추녀는 직선(直線)인 바 각(各) 전각(轉角)의 반전(反轉)도 뚜렷하고 낙수면(落水面)이 평박(平薄)하여 대체(大體)로 경쾌(輕快)한 감(感)을 주고 있다. 낙수면(落水面)에는 팔각(八角)마다의 합각(合刻)이 정연(整然)하여 팔주(八柱)의 우동형(隅棟形)이 있으며 정면(頂面)에 팔판(八瓣)의 복연(伏蓮)을 조식(彫飾)하여 그 중심(中心)에 연화(蓮花) 보주(寶珠)를 받고 있다. 현재(現在) 화사석(火舍石)에 삼처(三處)의 귀열(龜裂)이 있을 뿐 다른 부재(部材)는 완전(完全)한 데 이 귀열(龜裂) 절단부(切斷部)도 접착(接着)하면 완전(完全) 부원(復原)될 것이므로 원형(原形)의 손상(損傷)은 전혀 없는 것이라 하겠다. 전체적(全體的)으로 보아 각부(各部)에 균형(均衡)이 잡히고 조각(彫刻)도 우아(優雅)하다고 보겠는데 상(上)ㆍ하대(下臺)의 연판(蓮瓣)은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성대(盛代)의 수작(秀作)에서 다소(多少) 장식적(裝飾的)인 의장(意匠)을 나타내기 시작(始作)한 후대(後代)의 수법(手法)을 보이고 있는 것이라 하겠으며 따라서 이 석등(石燈)의 조성년대(造成年代)는 팔세기(八世紀)를 지난 그 후기(後期)로 추정(推定)된다.

학술자료

  • 1. (韓國文化財大系) 國寶 . 1-24(198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병삼 외 8명 / 발행처 : 예경산업사
  • 2.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 국가지정 문화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발행처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3. 석등 조사보고서 Ⅰ(1999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4.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5. (보물편)문화재대관 : 석조(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문화재청
  • 6. 청도문화 길라잡이(200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청도문화원 / 발행처 : 청도문화원
  • 7. 석등 : 무명의 바다를 밝히는 등대(2011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흥선 / 발행처 : 눌와
  • 8.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