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영천 신월리 삼층석탑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永川 新月里 三層石塔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8-12-19
  • 소재지 : 영천시 금호읍 신월리 205-1
영천읍(永川邑)에서 금호(琴湖)로 향(向)하는 대구가도(大邱街道) 도로변(道路邊) 저수지(貯水池) 제방(堤防) 밑에 건립(建立)되어 있는 바 근래(近來) 새로이 법당(法堂)을 건축(建築)하고 신흥사(新興寺)라고 하였다. 이중기단(二重基壇) 위에 삼층석탑(三層石塔)으로 전형적(典型的)인 신라고탑(新羅古塔)의 양식(樣式)을 계승하고 있다. 기단부(基壇部)는 지대석(地臺石)과 중석(中石)을 일석(一石)으로 구성(構成)하고 각면(各面)에 우주(隅柱)와 탱주(撑柱) 일주(一柱)를 모각(模刻)하였다. 갑석(甲石)은 상면(上面)에 경사(傾斜)가 있고 우각(隅角)을 향(向)하여 우동형(隅棟形)이 있으며 그 중앙(中央)에 호형(弧形)과 각형(角形)이 있어 상대(上臺) 중석(中石)을 받고 있다. 상기단(上基壇) 갑석(甲石)에는 각면에 우주(隅柱)가 있고 탱주 일주(一柱)로 양분(兩分)하여 각각 팔부중상(八部衆像) 일구(一軀)씩을 양각(陽刻)하였는바 중석(中石) 자체에 일부 손상(損傷)이 있고 조각(彫刻) 자체가 마손(磨損)을 입고 있으나 균형(均衡)있는 정제(整齊)된 형태(形態)를 볼 수 있다. 상기단(上基壇) 갑석(甲石)은 밑에 부연(附椽)이 있고 상면(上面)은 극히 경미(輕微)한 경사(傾斜)가 있으며 중앙(中央)에 호형(弧形)과 각형(角形)의 몰딩이 이중(二重)으로 있어 탑신부(塔身部)를 받았다. 탑신부(塔身部)는 옥신(屋身), 옥개석(屋蓋石) 각(各) 일석(一石)이다. 옥신(屋身)은 각층(各層)에 우주형(隅柱形)이 모각(模刻)되고 초층옥신(初層屋身)에는 각면(各面) 중앙(中央) 문비(門扉)와 문(門) 형(形)이 모각(模刻)되었는 바 초층옥신(層屋身)은 문비(門扉) 모각(模刻)으로 인함인지 과대(過大)해진 감(感)이 있다. 옥개석(屋蓋石)은 받침 각층(各層) 사단(四段)이고 추녀 밑은 수평(水平)을 이루었으며 추녀는 두꺼운 편이다. 낙수면(落水面)은 통식(通式)의 경사(傾斜)를 이루었고 전각(轉角)의 반곡(反曲)이 경쾌하고 옥정(屋頂)에는 옥신(屋身)을 받기 위한 받침이 있는 바 초층(初層)은 이단(二段)이며 이(二), 삼층(三層)은 일단식(一段式)이다. 옥신(屋身)도 일부에 손상(損傷)이 있고 옥개석(屋蓋石)은 전각부(轉角部)에 손상(損傷)을 입고 있다. 상륜부(相輪部)는 전실(全失)되어 남은 것이 없다. 부근(附近)에서는 사역(寺域)을 고증(考證)할 아무 근거도 없으나 대구가도(大邱街道)에서 바라볼 수 있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석탑(石塔) 자체(自體)는 부분적으로 손상(損傷)을 입었고 옥개(屋蓋)받침의 감소(減少), 초층옥신(初層屋身)의 과대(過大) 등 퇴화(退化)와 비율(比率)의 불균형(不均衡)이 있고 초층(初層) 옥신(屋身)의 사면(四面) 문비(門扉)와 같이 불필요한 과잉(過剩) 장식(裝飾)이 있기는 하나 아직도 건실(健實)한 수법(手法)을 잃지 않은 가작(佳作)이라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신라석탑(新羅石塔)의 품격(品格)을 잃지 않은 점과 조각수법(彫刻手法) 등으로 보아 신라(新羅) 중기(中期) 이후(以後)의 소작(所作)으로 추정된다.

학술자료

  • 1. 영천 신월동삼층석탑의 재질특성과 훼손도 정량평가(2010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이정은 이찬희 채성태 정영동 / 발행처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2. 경상북도의 석탑Ⅴ(2011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문화재청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