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경북전통시장육성

경북전통시장 목록을 번호, 경북전통시장명, 요약설명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경북전통시장명 요약설명
자인장 신라시대부터 노점으로 자연발생하고 6.25를 전후하여 인구가 유입되면서 정기시장으로 발전하였다. 장날에는 옛 맛 그대로의 장국 ...
하양장 1931년 개설되어 서민들과 지역 영세상인들의 삶의 터전이 되어온 장터이다. 와촌, 진량, 청통 등지에서 출하된 양파, 무, ...
안강장 1923년 7월 안강시장이 개장한 이후 산업화, 공업화, 선진농업화로 시장기능 번창에 노력하고 있다.
아화장 주변 마늘 주산지에서 나는 독특하고 매콤한 맛을 내는 마늘을 비롯하여 고추, 참깨, 갖가지 나물들과 기타 생활용품이 거래되고 ...
건천장 농촌지역으로 5일에 한번씩 시장이 형성되며 특히, 외지 상인들이 많이 찾는다.
의곡장 1954년 주민의 뜻에 따라 설립한 시장으로 60년~70년대 성황을 이루었다.
불국사장 일제시대 불국사 마동소재에서 시작되어 해방 후 불국사역 앞으로 이주하여 18년간 지속하다 1962년 현 위치로 이주했다.
감포장 감포장은 1930-1950년대 해상 교류가 활발해 상인들의 왕래와 교류가 잦아 자연스럽게 시장으로 형성되어 왔다. 그 후 19 ...
어일장 어일시장은 고종 32년 동해면 설립 이전부터 물물교환이 시작되었으며 인구 증가 및 거래량의 증가로 옛날의 시장장소는 협소하여 ...
입실장 1954년에 개설되어 농수산물, 임산물, 공산품 등 일반가정에서 필요한 갖가지 품목을 취급하고 있다.
하서장 1956년부터 개설되어 각종 수산물과 야채, 채소, 과일, 신변잡화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경산장 경산시내 경북약국에서 300m 정도 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주로 경산 관내의 농산물 외 공산품, 건어물, 청과물 등이 주종을 ...
압량장 압량장은 1957년에 정기시장을 이루어 어물전, 의류전, 옹기전, 채소류 등을 거래하여 60-70년도에 크게 번성하였다.
해평시장 우리나라 최대의 전자공업도시로 각광을 받고 있는 구미는 명산 금오산과 낙동강이 어우러져 천혜의 절경을 이루고 있다. 영남인재의 ...
후포장 경상북도의 최북단에 강원도와 인접한 울진은 강원도와 경상도의 문화와 전통을 고루 갖추고 있다. 동해의 맑고 푸른 물과 백두대간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행복콜센터 :
 15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