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실크이야기

누에고치에서 뽑은 섬유를 말한다. 주로 양잠농가에서 생산하는 것을 가잠(家蠶)이라고 하며, 중국 산동 지방과 인도 등지에서 생산하는 것을 야잠(野蠶)이라고 한다. 가잠에 비해서 야잠은 더 가늘고 광택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볍고 질기며 따뜻하다고 한다. 그러나 한 가지 염색이 잘 되지 않는 흠이 있다. 실크는 햇볕을 오래 받으면 누렇게 바랜다.

섬유공장 사진

누에고치로 만들어진 섬유 및 그 제품의 총칭하며 견사, 생실, 쌍고치실, 부잠사, 견연사, 견방사, 풀솜 및 이들로 부터 만들어진 직물, 편물 등 모두가 포함된다.
화학적으로는 단백질에 속하고 보통 집누에와 견사충류의 실샘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을 가리키며 세리신과 피브로인으로 되어 있음.

비단 직조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중국의 주나라 무왕은 왕실에서 짠 비단을 어의로 사용하였으며, 개선장군에게 금포를 하사하였다고 전한다. 한대에는 양읍이 주산지가되어 이때부터 한금이 실크로드를 따라 서역에 본격적으로 전해지기 시작하였는데, 비단은 금(金)값에 맞먹는다고 해서 글자도 금(錦)으로 쓰게 되었다고 한다.

한금 사진

한금은 지금으로 말하면 평직(平織)의 변화조직인 경묘직(經畝織)의 일종인데, 여러 가지 색상으로 염색된 섬세하고 치밀한 경사(經絲)의 매올마다 굵은 위사(緯絲)의 여러 올을 한꺼번에 교차시킴으로써 경사만이 천의 표면에 두둑처럼 나타나는 다채로운 무늬 효과를 내는 경금(經錦)이다.

경금은 경사의 조작이 까다롭고 작은 무늬의 제직이 곤란하였기 때문에 당대(唐代) 초에 들어와서는 위사만이 무늬효과를 내는 위묘직, 즉 위금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것은 종래의 경금 대신 빠른 속도로 보급되었다.

정교한 무늬의 위금은 그 후 한국을 거쳐 일본에 전파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비단의 생산과 제직기술을 관장하는 직금방(織錦房)·별금방(別錦房) 등의 관청이 있어 금직은 매우 번성하였다.

소지왕 때 방인(邦人)도 금수를 입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신라금의 역사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고려시대 이후에는 금직기술이 발전하지 못하여 비싼 값으로 중국으로부터 수입하였는데 1945년 광복 이후 최근에 이르러서야 겨우 자급자족할 수 있게 되었다. 비단의 조직은 점차 간단해져서 능직(綾織)이나 수자직 바탕에 금사(金絲) 또는 색사(色絲)의 위사가 회화적인 무늬를 이룬 것이 증가되었다. 고급 옷감의 용도 이외에 주머니·법복·무대의상·장식품 등 특수 용도로도 쓰인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행복콜센터 :
 15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