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공식 웹사이트This is the official e-government website of the Republic of Korea.

Enlarge font sizeReduce font sizePrint

식물

경상북도 식물 게시판 제목, 내용에 관한 표입니다.
제목 내용
큰개여뀌 1년초로서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흰여뀌에 비해 줄기가 장대하고 마디가 굵으며 화수가 길이 10㎝에 이른다. 본종은 흰여뀌에 통합하거나 아종으로 취급하는 이론이 있다. 줄기는 장대하여 120㎝에 달하고 마디가
끈끈이여뀌 1년초로서, 평북, 함남 이남의 양지바른 곳에 자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화경 및 위쪽 절간 상부에서 점액이 분비하므로 잘 구별된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40∼60㎝이며 전주에 거친 털이
호장근 전국 산야에 분포하는 다년초로서 일본, 중국, 대만에도 분포하며, 근경은 약용으로, 어린줄기는 식용으로 사용된다. 왕호장근에 비해 잎이 소형이며 거의 분백색을 띠지 않고 뒷면 맥 위에 종종 입상 돌기 또는 유
감절대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호장근과 유사하나 잎이 난형 또는 둥근모양이다.
나도닭의덩굴 유럽과 서부아시아가 원산지이다.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가늘고 길게 다른 물체를 감아 오르며 길이가 40∼100cm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잔털 같은 돌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심장 모양이
갯강아지풀 1년초로 제주도 및 금강산 이남의 해안 및 바다에 인접한 풀밭에 자라며, 일본에 분포한다. 강아지풀의 해안형으로 소형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꽃밥이 황갈색인 점이 다르나 내륙으로 감에 따라 중간형이 있다.
꽃무릇 본 종은 다년초로서 우리 나라 남부의 습한 야지, 절터에 주로 자란다. 비늘 줄기는 넓은 난형이고 바깥껍질은 검은색이며, 잎은 넓은 선형으로 나오고 짙은 녹색이다. 꽃줄기는 30∼50㎝, 잎이 없어진 비늘줄기
석창포 다년초로 중부 이남의 평지와 산지에 걸쳐 도랑가에 군생하며,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분포한다. 뿌리는 약용으로 사용한다. 창포에 비해 잎에 중륵이 없고 포는 화서와 길이가 같거나 약간 길다. 근경은 옆으로
큰고랭이 다년생 정수성 수초로 제주도를 제외한 거의 전국의 못이나 호수의 얕은 물속에 자라며, 일본,만주, 사할린 등에 분포한다. 세모고랭이에 비해 줄기가 원주형이고 근경이 굵다. 변이가 많고(Schoenoplectu
점박이구름병아리난 가야산 정상에 나며, 구름병아리난초와 닮았으나, 잎면에 자줏빛 반점이 있으므로 쉽게 구분된다.
검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