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공식 웹사이트This is the official e-government website of the Republic of Korea.

Enlarge font sizeReduce font sizePrint

식물

경상북도 식물 게시판 제목, 내용에 관한 표입니다.
제목 내용
난티나무 중부 이북 및 울릉도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이며 강원도 이북지역에 많다. 수피는 얕고 길게 세로로 찢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넓은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예리한 복거치가 있다. 잎끝부분에 보통 3개의 결각이 생기며
느티나무 경북의 각 지역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이며 수피는 오랫동안 평활하지만 비늘처럼 떨어지며 피목이 옆으로 발달한다. 잎은 호생하며 장타원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점첨두 원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며 길이 2∼13㎝이고
팽나무 경북 동해안 지역에 더러 분포하는 낙엽교목으로 흔히 포구나무라고도 한다. 수피는 회색이고, 소지는 흑갈색으로 새가지에 세모가 발생한다. 잎은 호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첨두 설저이며 좌우가 약
풍게나무 울릉도, 덕적도, 제주도 등 난대지역에 더러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예첨두이다. 좌우가 같지 않은 넓은 설저 또는 원저이며 내곡 예거치가 있으나 하부의 1/3정도는 거치가 없
푸조나무 울릉도를 비롯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의 낮은 산야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이며 난대성 수목이다. 수피는 회색으로 크게 되면 벗겨져 떨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길이 5∼10㎝, 너비 3∼6㎝이다
호랑버들 각 지역의 산지에 자라는 낙엽소교목이며 잎은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다. 잎의 뒷면에 융모가 끝까지 밀생하여 있는 것이 떡버들과 다르다. 잎은 불규칙한 거치가 있는 것도 있고 전 연인 것도 있다. 자웅이주로서
키버들 거의 전국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가지는 가늘고 길게 뻗는다. 잎은 좁은 선상피침형으로 대생하지만 간혹 호생하는 경우도 있다. 잎은 길이가 6∼8㎝, 너비가 5∼10㎜ 정도이며 잎표면은 짙은 녹색이다. 잎뒷면은
갯버들 우리 나라 각 지역의 냇가나 산골짜기의 습지에 자라는 낙엽관목이다. 높이가 2∼3m 정도이며 뿌리부근에서 많은 가지가 나온다. 가지는 활처럼 휘어진다. 잎은 도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잎은 호생하며 길이
굴피나무 우리 나라 각 지역에 분포하나 특히 경기 이남 지역의 산록부나 산골짜기의 비옥지에 많다. 잎은 기수우상복엽으로 호생하며 소엽은 대생한다. 소엽은 낫모양으로 약간 구부러져 있다. 가장자리에 중거치가 있다. 자웅
가래나무 온대 북부와 한대 수목이나 경북 봉화지역에까지 자생하는 교목으로 수피는 회색이고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기수우상복엽이며,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외과피와 엽병에 선모가 밀생하고 핵과는 난원
검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