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_1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_1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_2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_3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_4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_5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_6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_7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_8
이전 다음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淸道 雲門寺 圓鷹國師碑
  • 유형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 시대 : 고려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89 운문사
비면상부(碑面上部)에 방곽(方廓) 제액(題額)을 마련하고 원응국사비명(圓應國師碑銘) 6자(字)를 해자(楷字)로 종서(縱書)하였다. 지금 신석(身石)은 삼편(三片)으로 절단(切斷)되어있다. 여지승람(輿地勝覽)에는 「운문사(雲門寺) 운문산하(雲門山下) 초명작갑(初名鵲岬) 신라고승보양소창(新羅高僧寶壤所創) 고려태조사액왈운문선사(高麗太祖賜額曰雲門禪寺) 유윤언원소찬(有尹彦願所撰) 승원응비(僧圓應碑)」라 있고 대동김석서(大東金石書)에는 「운문비(雲門碑) 재청도운문산(在淸道雲門山) 운문사원응국사비(雲門寺圓應國師碑) 실명윤언원문이(失名尹彦願文이)」라 있다. 또 해동금고(海東金攷)에는 「운문사원응국사비명(雲門寺圓應國師碑銘) 김황통오년(金皇統五年) 윤언원찬(尹彦願撰) 석(釋)□□서(書) 재경상도청도군(在慶尙道淸道郡) 안윤언원파평현인(按尹彦願坡平縣人) 윤(尹) 관자(瓘子) 등제관지정당문학(登第官至政堂文學) 청노퇴거파평(請老退居坡平) 자호김강거사(自號金剛居士) 송소흥십구년졸(宋紹興十九年卒) 익문강(謚文康)」이라 수록(收錄)되어 있다. 원응(圓應)은 속성(俗姓) 이씨(李氏), 휘학일(諱學一), 자봉거(字逢渠) 부휘응담(父諱應膽), 모이씨(母李氏) 진장율사(眞藏律師)에게서 체발(剃髮)하고 13세에 구족계(具足戒)를 받아 선종(宣宗) 2년 광명선불장(廣明選佛場)에서 우중(優中)하고 입송(入宋)하여 화엄(華嚴)의 의(義)를 전(傳)하며 천태교관(天台敎觀)을 배워 2년 후에 귀국(歸國)하였다. 숙종(肅宗) 3년 대각국사(大覺國師)가 홍국사(弘國寺)에서 개설(開設)한 원각회(圓覺會)에서 사(師)는 부강(副講)이 되었고, 예종원년(睿宗元年) 병술(丙戌) 중대사(重大師)가 되어 가지사(迦智寺)에 주(住)하다가 귀산사(龜山寺)로 이주(移住)하였다. 동왕(同王) 3년 무자(戊子)에 선사(禪師)를 가(加)하였고 동(同) 4년 대선사(大禪師)를 가(加)하였다. 동(同) 7년에는 안화사(安和寺)에 주석(住錫)하였고 동(同) 8년에는 내제석원(內帝釋院)에 주거(住居)하게 되었다. 동년(同年) 십칠년(十七年) 왕이 질(疾)로 인하여 대사(大師)를 내전(內殿)에 초치(招致), 왕사(王師)로 삼고자 하였으나 사양(辭讓)하였다. 왕(王) 승하(昇遐)하고 인종(仁宗)이 즉위(卽位)한 후 선왕(先王)의 뜻을 이어 7월 22일 왕사(王師)로 책봉(冊封)하였으며, 인종(仁宗) 4년 운문(雲門)으로 돌아가고자 하였으나 부윤(不允)하였고 동왕(同王) 7년에는 인상(印狀)을 왕조(王朝)에 봉납(封納)하고 운문(雲門)으로 돌아갔다. 인종(仁宗) 22년 갑자(甲子) 십월이십일일(十月二十一日) 시질(示疾), 십이월(十二月) 구일(九日)에 시멸(示滅)하였는 바 향령(享令) 구십삼(九十三), 법랍팔십이(法臘八十二)였고 왕(王)은 문부진도(聞訃震悼)하여 내신(內臣)을 보내어 장사(葬事)를 감호(監護), 익년(翌年) 예책(禮冊)하여 국사(國師)로 하였으며 시호(諡號)를 원응(圓應)이라 사(賜)하였다. 입비년시(立碑年時)에 관(關)하여는 정설(定說)이 없다. 비문(碑文)은 자경(字徑) 1.5cm의 행서(行書)이며 제액(題額)은 자경(字徑) 10.5cm, 노공체(魯公體)의 행서(行書)이다. 이수(이首)는 일실(逸失)되었고 귀부(龜趺)는 파손잔편(破損殘片)이 산재(散在)하나 그 명백한 형식(形式)을 알기 어렵고 비신주연(碑身周緣)의 화문대(花紋帶)가 남아있을 뿐이다. 상하(上下)의 조식장엄(彫飾莊嚴)이 일실(逸失)되었으므로 그 조형적(造形的) 특색(特色)은 알기 어렵다.

학술자료

  • 1. 금석문 탁본조사보고서 경상북도 Ⅰ(2014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문화재청,불교중앙박물관 / 발행처 : 문화재청
  • 2. (淸道)雲門寺圓應國師碑拓本(불명년 발행)
    비도서 / 저자 : 발행처불명 / 발행처 : 발행처불명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