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김천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_1
  • 김천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_1
이전 다음

김천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

  • 지정 : 보물
  • 한자명 : 金泉 直指寺 石造藥師如來坐像
  • 유형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직지성보박물관
광배(光背)와 동일석(同一石)으로 조성(造成)된 약사여래불상(藥師如來佛像)이며, 대좌(臺座)의 유무(有無)는 알 수 없다. 소발(素髮)의 머리에는 육계가 큼직하며, 얼굴은 마멸(磨滅)이 심하여 세부수법(細部手法)은 잘 알 수 없지만 둥글고 풍만(豊滿)하다. 목에는 형식적(形式的)인 삼도(三道)가 가슴으로 내려가며, 여기에 시작(始作)된 가슴은 발달되었으나 자연스럽지가 못하다. 결가부좌(結跏趺座)한 하체(下體)의 처리라든가, 왼손에 약호(藥壺)를 잡은 팔과 손 등은 「레리프」가 좋아졌지만 역시 퇴화(退化)된 수법(手法)이다. 특히 우견편단(右肩偏袒)한 법의(法衣)는 결코 유려하지 못하며 무단 각법(刻法)이 구사되고 있다. 광배(光背)는 주형거신광(舟形擧身光)인데 폭(幅)이 너무 넓어 맵시있는 처리는 아니며, 두(頭)ㆍ신광(身光)을 그 조선(條線)으로 만들어 그 안에 당초문(唐草紋)을 돌리고 있다. 이런 수법(手法)은 외연부의 화염문(火焰紋) 배치(配置)와 함께 형식화(形式化)가 훨씬 진전되었음을 실감(實感)나게 한다.

학술자료

  • 1.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 국가지정 문화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발행처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2.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3. 한국의 사찰(200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형우, 신대현, 안병인 / 발행처 : 대한불교진흥원
  • 4. 황악산 직지사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대한 풍수지리적 고찰(2012년 발행)
    학위논문 / 저자 : 이홍태 / 발행처 :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5.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 6. 김천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 : 정밀실측조사보고서(2018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천시 / 발행처 : 김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