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청도 석빙고_1
  • 청도 석빙고_1
  • 청도 석빙고_2
  • 청도 석빙고_3
  • 청도 석빙고_4
  • 청도 석빙고_5
  • 청도 석빙고_6
  • 청도 석빙고_7
  • 청도 석빙고_8
  • 청도 석빙고_9
  • 청도 석빙고_10
  • 청도 석빙고_11
  • 청도 석빙고_12
  • 청도 석빙고_13
  • 청도 석빙고_14
  • 청도 석빙고_15
이전 다음

청도 석빙고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淸道 石氷庫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_관아 > 관아
  • 시대 : 조선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285
화양(華陽)을 경유(經由)하여 풍각(豊角)으로 가는 대로변(大路邊)인 동천리(東川里)에 유존(有存)하는 바 신작로(新作路)에서 남쪽으로 약 100m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축조(築造)로 추측(推測)되는 성루(城壘) 안에 자리잡고 있다. 현재 천정부(天井部)의 개석(蓋石)은 홍예석(紅霓石) 외에는 일석(一石)도 잔존(殘存)치 않고 완전히 붕괴(崩壞)되었으므로 그 내부(內部)의 각(各) 구조(構造)는 명확히 들여다 볼 수 있게 되었다. 빙실(氷室) 저면(底面)은 장방형(長方形)의 구조(構造)인데 서향(西向)한 입구(入口)에서 계단(階段)을 따라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내부(內部)는 안으로 들어갈수록 점차 바닥이 경사(傾斜)졌고 그 바닥 중앙(中央)에는 배수구(排水口)가 있어 경사(傾斜)를 따라 외부소계(外部小溪)로 배출(排出)되게 조성(造成)하였다. 내부(內部)에는 연석(鍊石)으로 4개의 홍예(紅霓,虹霓)를 틀어올리고 잡석(雜石)으로 구석의 벽면(壁面)과 홍예와 홍예 사이의 벽(壁)을 쌓았다. 홍예와 홍예 사이의 벽 위에는 좌우벽(左右壁)에 걸쳐 천정적석(天井積石)을 우선 팔자형(八字形)으로 얹고 그 외에는 일자(一字)로 얹었다. 천정(天井)에는 물론 타 예(他 例)와 같이 환기공(換氣孔)을 설치(設置)하였거나 현재(現在)는 완전히 붕괴(崩壞)되었으므로 원형(原形)을 알 수 없다. 이 석빙고(石氷庫)의 입구(入口) 좌측(左側)에 신축(新築) 당시(當時)의 석비(石碑) 일좌(一座)가 건립(建立)되어 있어 이 빙고(氷庫)의 축조년대(築造年代)를 정확히 알 수 있다. 즉 비석(碑石) 표면(表面)에는 始於二月十一日至五月五日而訖盖役衆五千四百五十一皆一日赴役曳石僧六百七役二十日 石工十二冶匠三木手一粮米五十三石瓦功錢三百兩正鐵一千四百三十八斤灰三百八十四石 이라 있고 이 이면(裏面)에 癸巳五月初六日立 이라 있으며 그 밑에 관계인명(關係人名)을 나열(羅列)하였는데 그 중 진사(進士) 박상고(朴尙古)란 기명(記銘)이 있어 이 박씨(朴氏)의 생몰년대(生沒年代)를 파악(把握)하여 추정(推定)하면 곧 빙고(氷庫)의 건축년대(建築年代)를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여기의 계사년(癸巳年)은 이조제십구대(李朝第十九代) 숙종시(肅宗時)로서 왕(王)39년(1713)에 해당(該當)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비문(碑文)에 의하면 인력(人力)과 공정(工程)을 비롯 소요물자(所要物資) 등을 대개 알 수 있으며 근(近) 3개월간(個月間)의 기간(其間)이 걸렸음을 알 수 있다. 수만개(數萬個)의 석재(石材)를 운반(運搬)함에도 노고(勞苦)가 대단하였겠으나 그렇듯 거대한 홍예(紅霓)의 조립(組立)은 기계화(機械化)된 오늘날에도 쉬운 일이 아닐진대 당시 맨주먹으로 시공(施工)할 초인적(超人的)인 조상(祖上)들의 기법(技法)에 우리는 다시금 놀라는 것이다. 현재(現在) 사기(四基)의 석빙고(石氷庫)가 지정보존(指定保存)되고 있는데 이 빙고(氷庫)는 그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술자료

  • 1. 절집을 물고 물고기 떠 있네 : 왕가의 명당에서 폐사지까지 스민의 눈으로 보는 숨은 건축 이야기(201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원철, 하지권 / 발행처 : 뜰
  • 2. 청도 연가 : 김주곤 시집(201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주곤 / 발행처 : 문화예술 출판부
  • 3. 대한민국 감동여행 : 롯데관광 추천 여행지 1040(2011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롯데관광개발 / 발행처 : 터치아트
  • 4. 여행하며 크는 아이들 : 경북편(201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구경래, 신영철, 박명훈 / 발행처 : 한티재
  • 5.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 6. 청도 석빙고 : 정밀실측조사보고서(2018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청도군 / 발행처 : 청도군
  • 7. 국보도록 . 第4集 , 석조물편(1960년 발행)
    도록 / 저자 : 국보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회내 도록편찬위원회 / 발행처 : 문교부
  • 8. 國寶圖錄 . 第2輯(1961년 발행)
    도록 / 저자 : 안병찬 / 발행처 : 한국신문연구소
  • 9. 寶物大觀(196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남정규 / 발행처 : 남일문화출판사
  • 10. 文化財大觀 : 石造物 . v.6 , 寶物 4(198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국문화재보호협회 / 발행처 : 대학당
  • 11. 세종문화유적총람 . 3(198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발행처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12. 환상의 드라이브 코스 . 2 , 설악영동편(199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최동욱 / 발행처 : 나남
  • 13.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 국가지정 문화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발행처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14. 전국도로관광도(199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삼보기획 / 발행처 : 삼보기획
  • 15. 韓國의 石氷庫(199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관리국 / 발행처 : 문화재관리국
  • 16. 답사여행의 길잡이 . 8 , 팔공산 자락(199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 발행처 : 돌베게
  • 17. 문화유적지도(199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발행처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8. 기차여행 100배 즐기기 : 전국 16개 기차 노선, 베스트 트래블 코스 54(2001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신성순 / 발행처 : 중앙M&B
  • 19. 나를 사로잡은 천년의 울림 : 우리美를 찾아서(2001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남윤호 / 발행처 : 해들누리
  • 20.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21. (보물편)문화재대관 : 석조(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문화재청
  • 22. 청도문화 길라잡이(200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청도문화원 / 발행처 : 청도문화원
  • 23. (드라이브 인 map+) 대한민국 : 자동차 내비게이션여행의 모든 것(200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Just go 트래블러 편집부 / 발행처 : 시공사
  • 24. (그림과 명칭으로 보는) 한국의 문화유산 . 1-2(200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시공미디어 편집부 / 발행처 : 시공테크
  • 25. 韓國 石氷庫의 損傷메커니즘 解釋과 保存環境 評價(2009년 발행)
    학위논문 / 저자 : 김지영 / 발행처 : 공주대학교 대학원
  • 26. 울타리 없는 우주(201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주곤 / 발행처 : 문화예술 출판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