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경주 양동 무첨당_1
  • 경주 양동 무첨당_1
이전 다음

경주 양동 무첨당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慶州 良洞 無첨堂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 시대 : 조선
  • 지정일 : 1964-11-14
  • 소재지 :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181
건물(建物)의 평면(平面)이 형(形)을 이룬 별당건축(別堂建築)이다. 정면(正面) 오간(五間) 측면(側面) 이간(二間)이 되는 건물(建物)의 내부(內部)를 구분(區分)하여 가운데 삼간(三間)은 대청(大廳)으로 하고 좌우간(左右間)은 각각(各各) 온돌방을 놓았으며 향(向)해서 왼쪽 온돌방 전면(前面)에 다시 이간(二間)을 이어내어 누(樓)마루를 만들었다. 대청(大廳)은 전면(前面) 기둥사이를 개방(開放)하고 누(樓)마루에서도 대청(大廳)을 향(向)한 쪽은 개방(開放)되었으나 뒤쪽과 측면(側面)은 벽(壁)을 치고 문(門)짝을 달았다. 이 누(樓)마루 전면(前面)에는 측면(側面)에 걸쳐서는 난간(欄干)이 있는 퇴(退)마루를 돌리고 있다. 기둥은 원주(円柱)를 사용하였으나 내부(內部)와 온돌방 후면(後面)에는 방주(方柱)를 세웠다. 기둥위에 배치(配置)된 공포(包)는 초익공(初翼工) 계통(系統)의 것이다. 처마는 사면(四面)이 모두 홑처마이며 지붕은 누(樓)마루 달린 쪽에는 합각(合閣)을 만들었다. 이 건물(建物)은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선생이 그 가택(家宅)의 일부(一部)에 세운 것이라 하며 그와 관계(關係)되는 유물(遺物)들이 보관(保管)되어 있다.

학술자료

  • 1. 경주 무첨당 실측조사보고서(2000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문화재청
  • 2. 文化財大觀(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주시 / 발행처 : 경주시
  • 3. 慶州儒敎文化遺蹟(201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주유교문화유적 편찬위원회 / 발행처 : 경주향교
  • 4. 양동마을 전통건축의 일사조절 전략 연구(2014년 발행)
    학위논문 / 저자 : 황지성 / 발행처 : 동국대학교 대학원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