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_1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_1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_2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_3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_4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_5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_6
이전 다음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慶州 掘佛寺址 石造四面佛像
  • 유형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경주시 동천동 산4
이 불상은 사면석주(四面石柱)에 조각한 사방불(四方佛)로서 동 약사여래(藥師如來) 서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 남 석가여래(釋迦如來) 북 미륵불(彌勒佛)인데 아미타여래는 삼존상(三尊像)이며 본존(本尊)의 신부(身部)는 석주에 새기고 두부(頭部)는 따로 만들었으며 좌우 협시보살(脇侍菩薩)은 별석으로 만들었다. 머리는 소발(素髮)인데 모자를 쓴 것 같으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고 넓은 어깨에 당당한 체구하며 손발의 세부(細部) 묘사(描寫)에 이르기까지 사실적(寫實的)이다. 법의는 통견(通肩)이며 얇게 조각되었고 대좌(臺座)는 반원통형(半圓筒形)인데 연화문(蓮花文)이 조각되었다. 좌협시보살은 고대(高大)한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데 전면에 화불(化佛)이 있다. 얼굴과 신체각부는 풍만하며 몸의 굴곡(屈曲)도 심하다. 천의(天衣)는 얇게 밀착되어 있고 보살상은 완전히 율동적(律動的)이다. 우협시보살은 가슴이상은 파손이 심하고 얼굴은 완전히 없는데 목 위에 얹힌 보관에 정병(淨甁)이 표현되어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모든 점에 있어서 좌협시보살과 비슷한 작풍(作風)이다. 동면상은 약사여래인데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자세이며 앞으로 숙인 얼굴, 긴 눈썹, 가는 눈 등이 세련된 얼굴로 표현되었다. 광배(光背)는 이선조(二線條)의 두(頭)ㆍ신광(身光)에 화염문(火焰文)이 음각되어 있다. 왼손에 약합(藥盒)을 들고 있다. 북면상은 왼쪽의 고조(高彫)한 상과 바른쪽의 음각상(陰刻像)인데 바른쪽 것은 마멸이 심하다. 흐르는 듯한 율동감(律動感)과 세련된 조각은 이 좌ㆍ우 보살상만한 작품을 따를 만한 것은 드물다. 남면상은 원래 삼존상으로 되었으나 후에 본존과 바른쪽 보살상 머리까지 없어졌으나 우수(優秀)한 조각으로 생각된다. 서면본존고 : 3.51m 북면미륵보살상고 : 1.61m 좌보살상고 : 2.49m 선각불상고 : 1.79m 우보살상고 : 2.92m 남면여래상고 : 1.36m 동면약사여래상고 : 2.09m 보살상고 : 1.45m 참고문헌 ○ 三國史記 三卷 塔像 第四 四佛仙 掘佛仙, 萬佛山 條 ○ 東京通志 七卷 栢栗寺 條

학술자료

  • 1. 굴불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1986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문화재연구소,경주고적발굴조사단 / 발행처 :
  • 2. 경주시 소금강산 굴불사지석불상의 풍화 특성(2012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윤순옥 박경근 황상일 / 발행처 : 대한지리학회
  • 3. 경주 석조문화재 모니터링 보고서 Ⅲ(2015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4.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석조문화재 표면오염물 분류 및 정확도 평가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을 중심으로 -(2020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안유빈?유지현?최명주 이명성 / 발행처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