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안동 봉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_1
  • 안동 봉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_1
이전 다음

안동 봉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 지정 : 보물
  • 한자명 : 安東 鳳停寺 木造觀音菩薩坐像
  • 유형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
  • 시대 : 고려
  • 지정일 : 2009-10-20
  • 소재지 :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
안동 봉정사 목조관세음보살좌상은 여러 개의 나무들을 접합한 접목조기법(接木造技法)으로 이루어졌으며 눈은 수정을 감입하였다. 사찰에 전하는 대웅전관음개금현판(大雄殿觀音槪金懸板)과 1753년의 중수원문(重修願文)을 통하여 1199년에 처음 조성되어 1363년에서 1364년 사이와 1751년에서 1753년 사이에 중수된 상임을 알 수 있다. 양식적으로도 이 관음보살상은 아직 고려적으로 변모하지 않은 이국적인 풍모, 마치 배흘림기둥을 연상시키듯 맵시 있게 땋아 올린 보계(寶?), 어깨 위에서 중첩된 고리모양을 이루며 늘어진 보발(寶髮)의 표현, 긴장감 넘치는 옷 주름, 세련된 조각기법과 균형미 넘치는 비례 등에서 중국 남송대의 불상이나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이나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등과 비교 된다. 따라서 이 상은 <대웅전관음중수현판기>에 기록된 대로 승안(承安) 4년, 즉1199년(高麗 神宗 2) 무렵에는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관음보살상은 고려후기 새롭게 대두하는 신고전주의(新古典主義) 양식 불상의 시원적 형태를 간직한 상으로 이러한 불상 양식의 성립과 전개과정을 살펴보는데 매우 중요한 상으로 평가 된다.

학술자료

  • 1. 고려전기 금동보살상 연구(2001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정은우 / 발행처 : 한국미술사학회
  • 2. 고려후기 불교조각과 남송조각 관계(2004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최성은 / 발행처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3. X선투과촬영장치를 이용한 목조불상의 제작기법 연구(200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임남수 / 발행처 : 한국미술사학회
  • 4. (국보·보물) 문화 유산을 찾아서 : 경주시·대구광역시(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출판사
  • 5.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최성은 / 발행처 : 일조각
  • 6. 주요동산문화재 기록화사업 목조불(2014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문화재청
  • 7. 중국 보타산 불긍거관음상(不肯去觀音像)과 고려 중기 보살상 - 봉정사,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연원과 관련하여 - (2019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최선아 / 발행처 : 한국미술사학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