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_1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_1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_2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_3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_4
이전 다음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 지정 : 보물
  • 한자명 : 醴泉 鳴鳳寺 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
  • 유형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 시대 : 고려
  • 지정일 : 2010-02-24
  • 소재지 : 예천군 효자면 명봉리 산1-1
고려 태조 24년(941)에 건립된 이 비석는 자적선사(慈寂禪師)의 부도탑비(浮屠塔碑)이다. 대사의 속성(俗姓)은 김씨(金氏)이고 법명(法名)은 홍준(洪俊)이다. 대사는 신라 헌강왕(憲康王) 8년(882)에 태어나서 효공왕(孝恭王) 3년(899)에 수계(受戒)하였으며, 고려 태조 22년(939)에 입적(入寂)하였다. 태조는 대사에게 자적선사라 시호(諡號)를 내렸으며, 부도탑(浮屠塔)은 능운(凌雲)이라 이름하였다. 탑비는 귀부(龜趺)위에 비좌(碑座)를 마련하여 비신(碑身)을 세우고, 이수를 얹어놓은 통일신라(統一新羅) 이래의 전형적(典型的)인 일반형 석비이다. 이 석비에는 고려 최조(最初)의 이두문자(吏讀文字)가 새겨져 있다. 경주(慶州) 남산(南山) 신성비(新城碑)와 세이쇼잉(正創院) 소장(所藏)의 신라장적(新羅帳籍)이 지방 호구조사(戶口調査)에 불과한데 비하여 이 비명은 신라시대의 이두에서는 볼 수 없었던 다양성(多樣性)을 구비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발전된 체제(體制)를 갖춘 최초의 본격적 문서(文書)라는 점에서 당시의 사회 및 문자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학술자료

  • 1. 鳴鳳寺 慈寂禪師 凌雲塔碑 = 新羅五岳調査記 第五(1966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秦弘燮 / 발행처 : 한국미술사학회
  • 2. 금석문 탁본조사보고서 경상북도 Ⅱ(2015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문화재청,불교중앙박물관 / 발행처 : 문화재청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