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_1
  •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_1
이전 다음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 지정 : 보물
  • 한자명 : 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
  • 유형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 시대 : 고려
  • 지정일 : 2010-02-24
  • 소재지 :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65-1
이 책판은 고려 고종 6년(1219) 6월에 부석사에서 판각한 것으로 판각장소와 연대가 분명한 책판으로는 가장 빠른 시기에 속한다. 고려시대의 책판으로 현존하는 유물로는 고려 고종23년(1236)에서 38년(1251) 사이에 판각된 고려 재조대장경인 팔만대장경판(국보)과 불교관련 서적의 책판이 대부분이고, 일반도서의 책판은 수종에 불과하다. 이 책판의 성격은 인간이 범백사(凡百事)를 행할 때에 날짜에 따라 정해진 길흉(吉凶)이 있다고 보는 성명학(星命學 : 운명학) 및 오행사상(五行思想)에 따라, 사안(事案) 별로 길일과 흉일을 월별로 나누어 횡간식(橫看式)으로 기록한 것으로, 택일(擇日)에 참고하기 위하여 관련되는 각종 유서(類書)에서 휘집한 선택서(選擇書)의 일종이다. 한 면에는 흉일에 속하는 구초일 종식(九焦日種植) 등 11가지 사안을 제목화 하여 제시하고, 월별로 해당 일자를 간지로 표시하였는데, 그중에서 장단성일(長短星日)과 천지앙일(天地殃日)조에는 장문의 주석을 달아 이 날을 범했을 때 따라오는 모든 재앙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실수로 장단성일을 범한 경우에도 광수공덕(廣修功德)의 방법으로 재화(災禍)를 면할 수 있다고 한 것인데, 이는 불교를 통하여 공덕(功德)을 쌓으면 재앙을 면할수 있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고려시대에 오행사상(五行思想)과 결부된 성명학(星命學)과 불교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단서를 보여주는 자료로 생각된다. 당시 대찰인 부석사에서 원당주(願堂主)가 이름을 밝히며 이러한 책판을 간행하였다는 것은 포교와 방식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일이다. 다른 1면에는 밭갈기에 좋은 날 등 농사와 관련된 길일에 속하는 사안 20가지가 같은 방식으로 열록(列錄)되어있다. 이 책판은 비록 1장에 불과하나 판각시기와 판각장소 및 판각자가 밝혀진 책판으로는 초기의 것에 속할 뿐 아니라, 그 내용도 일반인의 생활과 관련된 사안들이라는 점에서 13세기 초의 불교학, 서지학 및 민속학적으로 중요한 연구자료가 된다.

학술자료

  • 1. 13세기 ‘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을 통해 본 高麗의 曆書(201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위은숙 / 발행처 : NRF KRM
  • 2. 深源寺 소장 13세기 ‘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의 農曆(2012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위은숙 / 발행처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3. 고려의 중국 農書?曆書?擇日書 도입과 「吉凶逐月橫看 木板」의 성격(2014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영점섭 / 발행처 : 한국중세사학회
  • 4. 13세기 ‘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을 통해서 본 고려의 擇日문화(2015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위은숙 / 발행처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