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_1
  •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_1
이전 다음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지정 : 보물
  • 한자명 : 奉化 淸凉寺 乾漆藥師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 유형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건칠조 > 불상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2016-11-16
  • 소재지 : 봉화군 명호면 청량산길 199-152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은 흙으로 형태를 만든 뒤 그 위에 삼베를 입히고 칠을 바르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해서 일정한 두께를 얻은 후 조각하여 만든 건칠불상이다. 이 불상은 오래전부터 청량사의 주불전인 유리보전의 주불로 봉안되어 온 것으로 추정되며, 엄숙한 상호, 당당하고 육감적인 양감, 균형 잡힌 신체, 탄력과 절제된 선묘 등에서 석굴암 본존불 계통의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의 양식계통을 따르고 있다. 불상의 초창 기록이 확인되지 않아 정확한 제작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한 바탕층 삼베에 대한 방사선탄소연대 측정 결과 AD 770~945(1차 중간 층 : 900-945, 2차 마감 층 : 칠 제거 전 770년/칠 제거 후 780-870)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이 불상은 이르면 8세기 후반, 늦어도 10세기 전반 경에는 조성된 것으로, 930년경으로 추정되는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과 더불어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건칠불상임을 알 수 있어,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에서 중요한 위치와 의미를 갖는 불상으로 평가된다. 복장유물은 중수과정에서 납입된 발원문과 후령통, 복장전적, 금강계만다라 등 모두 19건 208점에 이른다. 이 중 1560년 중수 때 납입된 「千人同發願文」은 처음 만들어진 후 고려후기와 조선 전기에 중수된 기록을 담고 있어 중요하고, 「三十七尊種字曼陀羅八葉一輪」은 고려의 侍中 崔宗峻이 1239년에 납시(納施)한 것으로 불상의 중수 연대 추정에 도움을 준다.

학술자료

  • 1. 奉化 淸凉寺 乾漆藥師如來坐像의 陀羅尼와 典籍資料(201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南權熙 / 발행처 : 미술사연구회
  • 2.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의 특징과 제작시기 검토(201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鄭恩雨 / 발행처 : 미술사연구회
  • 3. 청량사 건칠불상의 재질 특성 연구(201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柳知雅 金智恩 鄭容在 / 발행처 : 미술사연구회
  • 4. 奉化 淸凉寺 乾漆藥師如來坐像의 재료 및 제작기술 연구(2020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鄭恩雨 閔闊 / 발행처 : 한국문화사학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