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식품안전정보

제목
과자, 트랜스지방 걱정 없이 드세요!
  • 등록일2013-01-04 00:00:00
  • 작성자 관리자
내용
- 12년도 트랜스지방 함량 실태 조사결과 발표 -

□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12년 국내 유통 과자류 중 트랜스지방 함량을 조사한 결과, 1회 제공기준량(30g) 당 트랜스지방 평균 함유량은 05년(0.7g)에 비해 93% 저감화된 0.05g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 트랜스지방 : 액체인 식물성기름(콩기름, 옥수수기름 등)을 고체상태로 가공할 때 수소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지방으로 심근경색 등 각종 심혈관질환 유발

□ 이번 실태 조사는 05년부터 추진된 트랜스지방 저감화 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것으로, 12년 국내 유통 중인 과자류 147개 제품의 트랜스지방 및 포화지방 함량을 측정하여 트랜스지방 저감화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과자류의 1회 제공 기준량(30g) 당 트랜스지방 평균 함량은 0.05g으로, 05년 0.7g에 비해 93%나 줄어들었다.
- 과자류 중 비스킷류의 트랜스지방 함유량은 05년 0.9g에서 12년 0.05g으로 94% 낮아졌으며, 초콜릿가공품이 1.0g에서 0.07g으로 93%, 스낵류는 0.3g에서 0.04g으로 87% 크게 낮아졌다.
○ 또한, 전체 조사 대상 중 99%(146개)가 1회 제공 기준량(30g) 당 트랜스지방 함량이 0.2g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0.5g을 넘는 제품은 하나도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1회 제공량 당 트랜스지방이 0.2g 미만인 경우 0g으로 표시 가능(식용유지의 탈취공정, 천연으로 존재하는 함량, 분석기술 등을 고려하여 0.2g 미만은 0g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함. 미국은 0.5g 미만을 0g으로 표시)
- 트랜스지방 0.2g 미만인 제품의 비율은 05년도 36%에서 12년도 99%로 증가하였다.
○ 한편, 트랜스지방 대신 포화지방의 사용 증가 우려가 있었지만, 이번 조사결과 국산 과자류의 포화지방 평균 함량은 3.4g으로 트랜스지방 저감화 정책 추진 당시인 05년 3.6g과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아울러, 트랜스지방 섭취는 하루 섭취 열량의 1%를 넘지 않되,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이는 만큼 가급적 적게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 현재 WHO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따라 트랜스지방 섭취량을 하루 섭취 열량의 1%를 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 성인 남성의 경우 하루 2,500Kcal 중 트랜스지방 2.8g 이하, 성인 여성의 경우 2,000Kcal 중 2.2g 이하로 제한하며, 만 1-2세는 1.1g, 만 3-5세는 1.6g을 넘지 않도록 한다.
○ 또한 식품 구매 시에도 영양성분 표시사항을 꼼꼼히 살펴 트랜스지방 함유량이 적은 식품을 구매하도록 한다.

□ 식약청은 이와 같은 트랜스지방 함량 저감화 성공 요인은 ▲저포화, 무트랜스 지방 기술개발 및 제조공정 개선 지원 ▲식품업체의 트랜스지방 자율 저감화 유도 ▲트랜스지방의 영양표시 대상 의무화( 07년 12월) 등이라고 설명하였다.
○ 또한 트랜스지방 섭취 주범으로 지목되었던 감자튀김의 경우, 튀김유지 교체 및 원료 냉동감자 변경 등 업계 자율적인 노력과 선의의 경쟁이 트랜스지방 함량 저감화 성공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감자튀김의 트랜스지방 함량(100g 기준) : 2.9g(`05년) 0.1g(`07년)
○ 이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트랜스지방 저감화에 성공한 것으로 제외국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 식약청은 앞으로도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의 함량을 낮추기 위해 제과?제빵점 등으로 실태조사를 확대하고, 산업체 기술 지원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산업체와 협력해 나갈 방침이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첨부파일이 다운로드 되지 않을 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식품의약과
전화번호 :
 054-880-3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