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병해충
'참나무시들음병' 이란?
발생형태
- 건강한 참나무류가 7~8월에 급속히 시들며 빨갛게 말라죽는 병으로서, 주로 가슴높이 직경 20㎝이상의 큰 신갈나무가 피해를 받고 있음
- 매개충(광릉긴나무좀)이 참나무류(특히 신갈나무)에 침입하여 곰팡이(레펠리아 병원균)와 공생, 곰팡이가 번지면서 도관을 막아 수분 이동의 장애로 말라 죽게 됨
- 고사목 주변에는 감염된 채로 서 있는 생입목(감염목)도 상당수 분포
판별방법
- 감염목 줄기에 매개충이 침입한 구멍(직경 1㎜정도)이 보이고, 침입공 주변 및 뿌리가 접한 땅 부위에 목분 배출물이 많아 쉽게 판별
- 감염목의 내부에는 매개충이 침입한 갱도 주위가 불규칙하게 암갈색으로 변색됨
피해현황
- 참나무시들음병은 '04년 경기도 성남에서 최초 발생되어 2008년을 정점으로 감소하였으나, 2012년 수도권과 충북을 중심으로 급속히 피해가 증가하다가 적극적인 방제로 감소하였음.
- 피해면적 : ('07) 3,591ha → ('08) 4,087ha → ('09) 2,489ha → ('10) 1,812ha → ('11) 3,307ha → ('12) 2,680ha
발생광경
고산지대 감염목 위치
매개충이 침입한 갱도 및 변색 광경
피해도별 감염목
고산지대 감염목 위치
매개충이 침입한 갱도 및 변색 광경
매개충이 침입한 갱도 및 변색 광경
매개충 '광릉긴나무좀'의 생활사
- 병원균을 옮기는 광릉긴나무좀은 우리나라 북부내륙과 중국의 동북지역, 러시아의 극동지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1935년에 처음 보고되었음
- 성충은 암갈색이며 평균 체장은 암컷이 4.4㎜, 수컷이 4.2㎜이고 암컷의 등판에는 균낭(mycangia)이 있으며, 이 곳에 병원균을 넣어 다님
- 암컷이 터널 속으로 들어올 때 균낭 속에 있는 곰팡이를 퍼트려 나무속에 번식시키고 알에서 깨어난 어린벌레( 충)는 나무조직에 배양되어 있는 병원균 곰팡이를 먹고 자람
- 대부분 5령의 노숙유충으로 월동하며, 5월 중순부터 우화된 성충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6월 중순이 되면 우화 최성기에 달함
성충 수컷(좌)과 암컷(우)
목질부 속의 유충
참나무시들음병의 방제
고사목과 피해도「심」인 생입목
- 집단발생지는 소구역 모두베기를 하여 훈증 또는 소각
- 단목발생지는 감염목만 벌채하여 훈증 또는 소각
- 벌채한 나무의 피해부위만 훈증.소각, 피해를 받지 않은 줄기.가지 등은 임내에 그대로 정리
피해도「중」인 생입목
- 기존발생한 시.군.구 중 집단발생지와 신규발생한 시.군.구(집단발생지.단목발생지 포함)의 경우「훈증 또는 소각방법」적용을 원칙으로 함
- 집단발생지는 소구역 모두베기를 한 후 수종갱신을 유도
- 기존발생한 시.군.구 중 단목발생지에는「약제주입방법」적용을 원칙으로 함
피해도「경」인 생입목
- 「약제주입방법」적용을 원칙으로 함
수간비닐피복 방제
1㎜ 정도의 작은 구멍에 약제주입으로 살충
참고
피해도 구분기준
- 고사목 : 나뭇잎이 시들어 고사된 상태의 나무
- 심 : 땅위에 떨어진 배출물이 뿌리부분 둘레의 1/2이상인 상태
- 중 : 땅위에 떨어진 배출물이 뿌리부분 둘레의 1/2미만~1/10이상인 상태
- 경 : 땅위에 떨어진 배출물이 뿌리부분 둘레의 1/10미만인 상태
용어의 정의
- 집단발생지 : 일정 장소에서 여러 나무에 발생(피해도 심·중·경 포함)하여 소구역 모두베기가 필요한 지역
- 단목발생지 : 일정 장소에서 한 두 그루 씩 분산하여 발생되는 지역
방제방법별 장.단점 분석
방제 방법 | 작업시기.방법 | 장 점 | 단 점 |
---|---|---|---|
소구역 모두 베기 |
|
|
|
벌채 훈증 |
|
|
|
소 각 |
|
|
|
약제 주입 |
|
|
|
수간 약제 살포 |
|
|
|
접착성 도포제 살포 |
|
|
|
약제 적한 이쑤시개 활용 |
|
|
|
수간 비닐 피복 후 살충 |
|
|
|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 담당부서 :
- 산림환경연구원
- 전화번호 :
- 054-778-3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