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나무
|
우리 나라 북부 고원지대와 높은 산의 정상 부근을 제외하고는 울릉도에 까지 분포하고 있는 상록교목이다. 잎은 2엽속생하며 잎길이 8~14cm, 너비 1.5mm로서 밑부분은 담갈색 엽초로 둘러싸여 있다. 자웅일
|
|
잣나무
|
중부 이북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팔공산 정상에까지 분포하고 있다. 주요 조림수종 중의 하나이다. 상록침엽교목으로서 잎은 5개씩 속생하며 3능선이 졌고 잎의 뒷면에는 흰 기공조선이 5∼6줄 있어 은록색으로
|
|
리기다소나무
|
미국의 북동쪽 대서양 연안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상록침엽교목으로 1906년 미국으로 부터 도입한 수종이다. 맹아력이 강하여 수간에서도 부정아가 발생하기도 한다. 동아는 짙은 갈색이며 잎은 3개 간혹 4개씩 속
|
|
섬잣나무
|
울릉도 특산의 상록침엽교목이다. 울릉도의 태화령에서 솔송나무(Tsuga sieboldii carr.)와 더불어 거목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내륙에서는 정원수로 심고 있다. 잎의 길이 3∼6㎝로서 5개씩 나며 3
|
|
백송
|
중국 북부 원산의 상록침엽교목으로 600여년 전에 외교사절단에 의하여 우리 나라에 들여 왔다. 수피는 회백색으로 비늘처럼 벗겨지며 잎은 3개씩 속생하므로 다는 소나무류와 쉽게 구별된다. 잎의 길이 5∼10㎝이
|
|
스트로브잣나무
|
미국 동북부지역의 용재수종이다. 우리 나라의 각 지역에 심겨져 있는 상록침엽교목이다. 우리 나라의 잣나무와 섬잣나무에 비하여 잎이 가늘고 열매가 길며 수피가 미끈하다. 잎은 5엽속생하며 솔방울은 긴 원통형으로
|
|
솔송나무
|
우리 나라에서는 울릉도에만 분포하고 있는 수종으로 상록침엽교목이다. 수관은 넓은 원추형이며 노목에서는 수피가 세로로 벗겨진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10∼20㎜, 너비 2.5∼3.0㎜로서 거의 2열로 배열한다.
|
|
전나무
|
평안북도, 함경남도에 가장 많고 북쪽에서는 해발 1,200m 이하, 남쪽에서는 해발 1,500m 이하의 계곡지역에 자라고 있는 한대성의 상록침엽교목이다. 수피는 암갈색으로 거칠다. 소지는 회갈색으로 털이 없으
|
|
분비나무
|
강원도 이북에 많이 분포하지만 남쪽으로는 소백산 정상까지 자생한다. 소지에 갈색털이 있고, 잎은 선형이며 어린 가지의 것은 끝이 갈라져 있고 길이 3∼4㎝, 너비 1.8㎜ 이지만 열매가 달려 있는 가지의 잎은
|
|
구상나무
|
한라산, 지리산, 가야산에 분포하는 상록침엽교목으로서 노목의 수피는 거칠어진다. 소지는 처음에는 약간 털이 있으며 황색을 띠지만 나중에는 털이 없어지고 자색을 띤다. 가지에는 잎이 떨어진 자국이 뚜렷하다. 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