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쪽
|
1년초이고, 중국 원산으로 과거에 염료식물로 식재하였고, 개여뀌나 장때여뀌에비해 잎은 장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마르면 남색을 띠고 여초 가장자리의 털은 엽초보다 약간 짧다. 잎은 남색염료로 사용하였다. 줄기는
|
|
초종용(사철쑥기생)
|
전국의 바닷가나 강가의 모래땅에 자라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줄기는 약용으로 쓰인다. 쑥속, 특히 사철쑥 뿌리에 기생하는 1년초로 줄기는 황갈색으로 굵고 곧추서며 화수와 더불어 높이 10∼35㎝이고
|
|
누린내풀
|
다년초로 층꽃풀에 비해 줄기와 잎이 크고 화서에는 꽃이 드문드문 달리며 화관열편은 갈라지지 않고 종자는 털이 없으며 강문과 선점이 있어 구분된다. 경기, 강원 이남의 산야에 자라고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
|
돼지풀
|
지정년월일 : 1999. 1. 7
북미에서 들어온 국화과의 식물로서 양지바른 곳이면 주택가, 산의 능선, 계곡, 휴경지 등에서 왕성히 자라 다른 식물들이 비집고 들어오지 못할 정도의 큰 무리를 이룬다.
|
|
붉은귀거북(청거북)
|
지정년월일 : 2001.12.24
붉은귀거북(청거북)은 애완용으로 많이 기르는데 주로 물이 많고 흐름이 약한 호수, 하천 또는 연못에 살고 있다. 이름과 같이 귀쪽에 빨간색 무늬가 있고 자연상태에서 약
|
|
서양등골나물
|
지정년월일 : 2002. 3. 7
1970년대 후반부터 발견된 북미산 외래식물로써 식물체에 trematol 성분이 있어 이를 먹은 소의 유제품을 섭취하면 구토, 변비 등의 증세를 수반하는 "milk si
|
|
털물참새피
|
지정년월일 : 2002. 3. 7
원산지가 북미로서 '94년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전라도 일부지방에 번식되고 있으며, 이들은 벼의 생육을 방해하고 농수로에 무성하게 자라 물길을 막기 일쑤이다. 특
|
|
물참새피
|
지정년월일 : 2002. 3. 7
원산지가 열대아시아로서 우리나라에는 '94년도에 제주도 저수지·논에서 발견되었고, 이들은 노에서 활발히 성장하기 때문에 심각한 잡초로 꼽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
|
도?비가지
|
지정년월일 : 2002. 3. 7
북미가 원산지로서 우리나라에는 1978년도부터 제주도·경상도 등 남부지방에 분포된 상태이며, 옥수수와 목초 등이 자라는 지역에서 잘 자라고, 가축들에게 독성이 있다고 보
|
|
방풍
|
건조한 모래흙으로 된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종자에서 싹이 난 지 3년 만에 꽃이 피고 진다. 뿌리에서 많은 잎이 나온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위쪽으로 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