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강나무
|
각지의 임내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잎은 호생하며 난원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흔히 3∼5개의 결각이 생기며 거치가 없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심장저이다. 잎뒷면 맥에 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1∼2㎝이며 털이 있
|
|
백동백나무
|
황해도 이남 전지역의 산록 양지쪽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겨울에도 마른잎이 잘 떨어지지 않고 가지에 달려있는 특성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이며 예두, 설저, 또는 원저로서 표면은 윤태가 나고 뒷면은 약간
|
|
생달나무
|
제주도, 울릉도를 비롯한 남쪽섬에 자라는 상록교목으로 수피는 회흑색이고 어린가지는 담황색이며 털이 없고 피목이 있다. 고목의 수피는 벗겨지는데 그 냄새가 계피와 같다. 한약상들이 고목의 수피를 벗겨가기 때문에
|
|
후박나무
|
울릉도 및 제주도, 거제도, 남해, 완도 등의 남쪽섬에 자라는 상록교목이며 높이 20m, 지름1m에 달한다. 어린가지와 잎이 붉은 빛이 돌기 때문에 장관을 이룬다.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 모여 달린다. 잎
|
|
참식나무
|
울릉도, 제주도를 비롯한 난대림 지역에 자라는 상록교목으로 높이 15m, 흉고직경 50㎝에 달하며 어린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고 혁질로서 장타원형이거나 녹색 타원형으로서 길이는 8∼18㎝이며
|
|
가마귀쪽나무(까마귀쪽나무)
|
울릉도, 제주도 등 난대림 지역에 자라는 상록소교목으로 높이 7m까지 자란다. 수피는 갈색이고 조각으로 떨어지지 않으며 소지에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가지끝에서는 여러 개가 모여서 달리고 좁은 긴 장타원형
|
|
말발도리나무
|
산골짜기의 바위틈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2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점첨두 설저이고 잔 거치가 있다. 잎의 양면과 어린가지 엽병에 5개로 갈라진 성모가 있다. 꽃은 희며 산
|
|
물참대
|
산골짜기 숲속 또는 숲가장자리의 암석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2m까지 자란다. 오래된 가지에서는 수피가 회색 또는 검은 회색으로 벗겨진다.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점첨두 설저이며 길이 2
|
|
매화말발도리
|
중부 이남의 바위틈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1m에 달하여 대개 비스듬하게 자란다. 잎은 대생하며 장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 넓은 설저로서 길이 4∼6㎝이며 불규칙한 가는 거치가 있다. 잎의
|
|
고광나무
|
각지의 산야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2∼4m에 달한다. 소지에 다소 털이 있고 2년지는 회갈색이며 껍질이 벗겨진다.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점첨두이고 넓은 설저이며 낮은 거치가 있다. 잎의 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