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단풍
|
중국 원산인 낙엽교목으로서 높이 15m에 달한다. 수피는 황갈색으로 오래되면 벗겨진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4∼8㎝로 잎의 윗부분이 얕게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기부에 3개의 뚜렷한 맥이 발달한다
|
|
칠엽수
|
일본 원산의 낙엽교목으로 높이 30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5∼7개의 소엽으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장도란형으로 가운데의 것이 가장 크며 길이 20∼35㎝이고 그 옆의 소엽은 점점 작아진다. 둔한 복거치가
|
|
무환자나무
|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의 사찰에서 심고 있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20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며 9∼13매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 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장타원상 난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7∼14㎝
|
|
모감주나무(염주나무)
|
포항시 동해면 해안가에 군락이 있다. 높이 8∼9m까지 자라지만 흔히 관목상이다. 잎은 호생하며 7∼15매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길이 25∼35㎝이다.
소엽은 난형 또는 장타원상 난형이며
|
|
헛개나무
|
청송 경북대 연습림과 울릉도에 군락지가 있다. 낙엽교목으로 높이 10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고 길이 8∼15㎝, 너비 6∼12㎝로서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이그러진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며 3개
|
|
망개나무
|
충북 속리산, 경주 주왕산, 소백산 등지에서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 어린 가지는 적갈색이고 작은 피목이 산재한다. 잎은 호생하며 길이 7∼12㎝, 너비 3∼5㎝로서 장타원형 또는 원저이고 거치가 없으나 때로는
|
|
갈매나무
|
각처의 산골짜기 및 하천가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가지 끝이 가시로 변한다. 잎은 대생하나 약간 호생하는 것도 있다. 잎의 길이 5∼10㎝, 너비 2∼5㎝로서 타원상 도란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
|
|
왕머루
|
각처의 산골짜기나 산록부에서 자라는 낙엽만경으로서 길이가 10m까지 자란다. 소지는 뚜렷하지 않은 능선이 있고 붉은 빛이 돌며 어릴 때에는 선모로 덮여 있다. 잎은 호생하며 길이 12∼25㎝로서 넓은 난형이고
|
|
개머루
|
각처의 산야에서 자라는 낙엽만경으로 길게 뻗으며 수피가 갈색이다. 잎은 호생하고 3∼5개로 갈라지며 점첨두이며 아심장저이다. 각 열편은 길이 7㎝정도로서 둔한 치아상의 거치가 있다. 잎 뒷면 맥위에 잔털이 있
|
|
담쟁이덩굴
|
각처에 자라며 기근과 흡반이 발달하여 암석지, 돌담 및 나무줄기에 붙어서 자라는 낙엽만경으로 어린 가지의 잎은 호생하나 단지에서는 2매씩 나오며 덩굴손이 변한 흡반이 잎과 대생하여 달린다. 잎은 난형이며 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