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나무
|
전남, 경남 이남에 자라지만 경북 지역에서도 월동이 되는 상록소교목으로 높이 3∼5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3∼10㎝, 너비 2.5∼4.5㎝로서 난형,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
|
쥐똥나무
|
평북 이남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2∼4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2∼7㎝, 너비 7∼25㎜로서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둔두이며 넓은 예저이다. 거치가 없고 잎뒷면 맥위에 털이 있다.
길이
|
|
왕호장
|
울릉도에 나는 다년초, 키는 2∼3m, 땅속줄기는 굵고 널리 퍼진다. 줄기는 장대하고 다소 활 모양으로 기울고, 상부에 짧은 털이 밀생하고 속은 비어 있다. 어린 줄기에는 자주색 반점이 퍼져 있다. 잎은 호생
|
|
층꽃나무(층꽃풀)
|
경북 동해안에서 자라는 아관목으로 높이 30∼60㎝에 달한다. 윗부분은 겨울동안 고사하며 소지에 털이 밀생한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2.5∼8㎝, 너비 1.5∼3㎝로서 난형 또는 장타원상 난형이고 첨두 또는
|
|
순비기나무
|
울진, 영덕, 울릉도의 바닷가에 자라는 상록관목으로 원대는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고 소지는 약간 네모가 진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2∼5㎝, 너비 1.5∼3㎝정도이며 난형, 도란형 또는 넓
|
|
좀목형
|
경남·북, 경기도의 산록부나 하천가의 바위틈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1∼2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3∼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길이 2∼8㎝로서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첨두이
|
|
백리향
|
가야산의 산정이나 울릉도 바닷가 바위에서 자라는 낙엽소관목으로 높이 10㎝정도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옆으로 퍼진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5∼12㎝, 너비 3∼8㎜로서 난상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첨
|
|
구기자나무
|
경기도 이남지역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길이 4m에 달한다. 원줄기가 비스듬하게 자라면서 끝이 밑으로 처진다. 가지에 가시가 있으나 없는 때도 있다. 잎은 호생하지만 여러 개가 총생하여 난다. 잎의 길이 2∼
|
|
참오동나무
|
각지에서 조림하고 있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15m에 달한다. 어린 가지에 털이 밀생한다. 울릉도가 참오동나무의 자생지로 알려져 있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20∼40㎝ 때로는 50㎝에 달하며 너비는 15∼30㎝로
|
|
개오동나무
|
중국 원산의 낙엽교목으로 높이 5∼10m에 달하며 각 지역에 가로수, 정원수로 심어져 있다. 잎에 긴 엽병이 있고 대생하지만 때로는 3매씩 윤생한다. 잎길이 10∼25㎝정도이며 넓은 난형 또는 난원형으로 기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