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위
|
나무줄기와 바위면에 붙어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고 길이 3mm이며 적색 또는 다갈색 비늘조각으로 덮인다. 잎자루는 길이 10∼26cm로 딱딱하고 홈이 있으며 성모(星毛:여러 갈래로 갈라져 별 모양의
|
|
하늘말나리
|
다년초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산지에 자라며, 중국에 분포한다. 어린 잎과 인경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한다. 말나리와 섬말나리에 비해 꽃이 깔때기모양으로 곧추서며 화피편은 뒤로 굽지 않는다.
화피에
|
|
흰일월비비추
|
본 종은 다년초로서 전국의 산 속 습지나 시냇가에 자라는 일월비비추와 닯았으나 꽃이 흰꽃이 피므로 구분된다.
|
|
무늬둥굴레
|
본 종은 다년초로서 우리 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 자라는 둥굴레와 유사하지만 잎 가장자리에 흰 무늬가 있으므로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
|
당아욱
|
2년초로서 울릉도 바닷가에 자라며, 유럽, 아시아원산이다. 키는 60∼90㎝이고 잎은 호생하며 거의 원형으로 얕게 5∼9갈래가 진다. 끝이 둔하고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서 가을
|
|
뚜껑덩굴
|
덩굴성 1년초로 제주도 및 경기 이북의 물가에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등에 분포한다. 수술이 5개이고 화과의 열편이 꼬리모양으로 뾰족하며 과실은 개과이다. 길이 2m에 달하고 짧은 연모가 산생하며 덩굴손
|
|
돌외
|
넌출성 다년초로 제주도, 전남, 경남 및 경북의 을릉도 등지의 숲언저리에 자라며,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분포한다. 차용(효자차)으로 사용된다. 잎이 새발모양의 복엽이고 수술이 유합하여 원주상을 이루며 과실
|
|
쥐털이슬
|
다년초로 전국의 깊은 산 음지에서 자라며, 아시아,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세소(細小)하고 꽃잎은 꽃받침조각과 등장이며 과실은 곤봉상이고 1실로 종자는 1개이다. 붉은 빛이 돌며 높이 5∼18㎝이고 기부에서
|
|
말털이슬
|
다년초로 강원도 이북의 산지에 자라며, 일본, 만주 등에 분포한다. 털이슬에 비해 털이 거의 없고 화서 축에 짧은 선모가 밀생하며 꽃은 붉은 빛을 띤다. 꽃받침이 녹색인 것을 푸른말털이슬(광능말털이슬)이라 한
|
|
바디나물
|
다년초로 전 도에 자라며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분포한다. 참당귀와 유사하나 소엽의 밑부분이 밑으로 흘러 날개모양으로 되고 꽃잎의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지 않으므로 참당귀와 구분된다. 근경은 짧고 뿌리가 굵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