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보도자료

경북도, 럼피스킨병 유입 방지 차단방역에 총력
부서명
농축산유통국 동물방역과
전화번호
054-880-3442
 
 
작성자
우정희
작성일
2023-10-23 16:53:11
조회수
118
- 방역대책본부 설치 및 운영, 24시간 비상체계 유지 -
- 축산차량·축산시설 소독강화, 임상 예찰 강화, 흡혈곤충 방제 -
경북도는 지난 19일부터 충남, 경기 지역 소 농가에서 럼피스킨병이 잇달아 발생*함에 따라 도내 유입 방지를 위해 차단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 발생 현황(10.22일 기준) : 10건*[충남7(서산5, 당진1, 태안1), 경기3(평택2, 김포1)]
* 한우 6호, 젖소 4호

지난 20일 농식품부에서는 위기 단계를 심각 단계로 상향조정하고, 소농가 및 축산차량과 축산시설에 대해 20일~24일에 걸쳐 2회 일시 이동중지를 실시했다.

* (1차) 전국 10.20 14:00 ~ 10.22 14:00(48시간)
* (2차) 인천, 경기, 충남 10.22 14:00 ~ 10.24 14:00(48시간)

경북도에서도 바이러스의 도내 유입 방지를 위한 선제적인 방역체계 가동을 위해 ‘럼피스킨병 방역대책본부’를 긴급 설치해 24시간 비상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영양에 소재한 한우 개량사업소와 젖소 개량사업소에서 사육되고 있는 종축 341두(한우 153두. 젖소 188)에 대해 22일 긴급 백신접종을 완료했다.

또한, 도내 14개 가축시장 패쇄 조치와 21개 시군 25개 거점소독시설을 운영하여 농가에 출입하는 축산차량 소독을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럼피스킨병 주요 전파 요인인 흡혈곤충(침파리, 모기류, 진드기류 등) 방제를 위해 소 농가 및 인근 방제에 철저를 기하고 있다.

현재까지 경북도에는 럼피스킨병 발생과 신고가 없으나, 소 사육이 전국에서 가장 많아 방역 당국에서는 더욱 긴장감을 가지고 대응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 경북도 소 사육현황 : 한육우(18,984호 825,658두), 젖소(615호 31,072두) 통계청(2/4분기 기준)

김주령 경북도 농식품유통국장은 “도내 바이러스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농가에서는 축사 내외 소독과 해충방제에 힘써 줄 것”을 당부했으며, “럼피스킨병 의심 증상* 확인을 위해 매일 관찰하고 이상이 있을 시 즉시 관할 시군 또는 1588-4060으로 신고해달라”고 강조했다.

【임상증상】 고열, 피부·점막 결절·궤양, 식욕부진, 림프절종대, 가슴·다리 등 부종, 과도한 침흘림, 눈·코 분비물 증가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연락처 :
054-880-4325
최종수정일
2022-02-09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