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보도자료

경북도, 통합 경북행복재단 본격 출범
작성자
김민관
작성일
2024-01-02 15:59:59
조회수
4655
- 경북행복재단 + 경상북도청소년육성재단 통합 -
- 보건·복지·청소년 분야 싱크 탱크(think tank) 역할 -
- 유기적 구조화 및 시너지효과 창출을 위한 복지컨트롤타워로 발전 -
3.통합_행복재단_50차_이사회.jpg

경상북도는 2024년 1월 1일부터 경북행복재단과 경상북도청소년육성재단이 통합 경북행복재단으로 공식 출범한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현 정부의 공공기관에 대한 구조혁신 추진에 따른 유사·중복기관 기능 통폐합 계획에 맞춰 민선8기 도정 혁신과제로 경상북도 산하 공공기관의 통합을 추진해 왔다.

경북문화재단,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에 이어 세 번째, 복지 분야로서 첫 번째로 추진한 통합 경북행복재단이 본격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통합 경북행복재단은 도내 보건·복지·청소년 분야의 싱크 탱크(think tank)로서 고령화와 저출산, 4차 산업혁명 등 급변하는 보건·복지·청소년 서비스의 환경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현장 중심 정책연구와 사회복지영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두 재단의 통합에 따라 경상북도청소년육성재단의 모든 재산과 권리 의무는 경북행복재단에서 포괄적으로 승계하고, 통합 초기 직원들의 혼란 방지를 위해 현 조직체계를 당분간 유지하면서 조직진단을 실시해 양 재단이 안정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동시에 통합 경북행복재단을 이끌어갈 대표이사를 3월까지 선임하여 경상북도 복지컨트롤타워로서 대외적 위상을 제고할 계획이다.

이번 통합을 위해 경상북도는 그동안 관련 조례를 개정하고, 통합기관 효율화 방안 연구용역에 양 재단과 노조 대표까지 참석하여 소속 직원들의 의견수렴을 통한 공감대 형성, 기관별 특수성과 차별성을 반영한 기본모델을 도출했다.

이와 더불어 양 재단의 통합 과정에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행정·재정적 지원을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지난달 27일 통합재단 첫 이사회를 개최하고 정관 개정, 내년도 예산안 및 양도양수계약(안)을 심의·의결했다.

김학홍 재단 이사장(경북도 행정부지사, 당연직)은 “경북행복재단과 경상북도청소년육성재단의 통합을 통해 중복 기능을 효율적으로 조정하여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복지를 추진하겠다”면서 “경상북도청소년육성재단의 기관 및 시설 운영 능력과 경북행복재단의 정책연구, 교육지원 능력을 연계해 최상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연락처 :
054-880-4325
최종수정일
2022-02-09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