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식물

경상북도 식물 게시판 제목, 내용에 관한 표입니다.
제목 내용
조록싸리 각 처의 산지에 자라는 낙엽관목이며 높이 2∼3m까지 자란다. 잎은 3출엽이며 난상타원형 첨두이고 넓은 설저 또는 원저로서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담록색 견모가 있다. 엽병은 길이 3㎝ 정도이며 털이
참싸리 각 처의 양지바른 산지에 자라며 사방조림을 위하여 식재하기도 하였다. 높이 1.5m 내외의 낙엽관목으로 소지에는 능선과 희고 짧은 털이 있으며 잎은 호생한다. 3출엽으로 소엽은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싸리 각 처의 양지바른 산지에 자라며 사방조림을 위하여 조림하기도 하였다. 낙엽관목으로 높이 3m에 달한다. 소지에 능선이 있고 처음에는 흰털이 있다. 잎은 3출엽이며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원두 또는 약간 요
각 처의 산야에 자라는 덩굴식물로서 오래된 것은 줄기의 직경이 10㎝나 되는 것도 있으며 지면이나 다른 나무를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며 줄기와 엽병에는 긴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3출엽이다. 소엽은 전연 또
다릅나무 산지에 흔히 자라며 높이 15m에 달하는 낙엽교목으로 잎은 호생하며 기수 1회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9∼11개이며 타원형 또는 장난형으로 길이 5∼8㎝, 점첨두이며 원저이고 양면에 털이 없다. 화서는 총상화서
회화나무 중국 원산으로 각처에 심고 있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30m까지 자란다. 소지는 녹색으로 흰가루가 덮여 있다. 잎은 호생하고 기수 우상복엽으로 길이 15∼25㎝이다. 소엽은 9∼15개로 난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등나무 낙엽만경식물로서 소지는 밤색 또는 회색의 얇은 막으로 덮여 있다. 잎은 호생하며 기수1회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13∼19개이며 난상 타원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4∼8㎝이고 점첨두이며 원저이다. 어린잎의
땅비싸리 산록이하의 양지바른 쪽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1m내외에 달하며 뿌리에서 맹아가 나와 군생하는 것처럼 보인다. 소지에 약간 줄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기수 1회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7∼11매로서 길이 1
아까시나무(아까시아) 미국 동부 원산으로 맹아력이 강하고 척박지에도 잘 자라기 때문에 사방조림용과 임산연료용으로 심었던 낙엽교목이다. 원산지에서는 25m까지 자란다. 수피는 흑갈색으로 세로로 갈라지며 소지에는 가시가 있다. 잎은
골담초 골담초(骨擔草)란 글자 그대로 뼈를 책임지는 풀이란 뜻이다. 옛사람들이 이름을 붙일 때부터 나무의 쓰임새를 알고 있었으며 실제로 뿌리를 한약재로 쓰고 있다. 풀초(草)자가 들어 있어서 초본으로 생각하기 쉬우
검색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행복콜센터
연락처 :
1522-0120
최종수정일
2021-04-05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